최태원 “선한 의지만으로 사회문제 해결 안돼…기업 보상 필요”

  • 뉴시스(신문)

코멘트

사회문제 해결 성과 보상 새 시스템 제안
“이윤 창출과 사회 혁신 동시에 이룰 것”

ⓒ뉴시스
최태원 SK그룹 회장이 SK의 사회성과인센티브 경험,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기업과 사회적 기업 간의 협력을 언급하며 사회문제 해결 성과에 보상하는 새로운 시장 시스템을 제안했다.

최 회장은 19일 서울 영등포구 콘래드 호텔에서 열린 세계경제포럼 슈왑재단 총회 개회식에서 이같이 밝혔다.

그는 “선한 의지만 있다고 사회문제가 해결되는 것은 아니다”며 “성과를 화폐적으로 정확하게 측정하고 세제혜택 등 금전적 인센티브가 주어진다면 기업이 더 많은 사회적 가치를 창출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시장 메커니즘을 활용해 사회적 가치를 거래 가능한 가치로 파악할 수 있다면 시장 시스템은 더 활발하게 움직일 것이라는 주장이다.

최 회장은 “이윤 창출과 사회 혁신을 동시에 이룰 수 있을 것”이라며 “이런 방식이 다양한 사회문제에 직면하고 있는 글로벌 경제의 근본을 재구상하는 시도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앞서 최 회장은 지난 2013년 세계경제포럼에서 ‘SPC(Social Progress Credits)’, 사회문제 해결 성과에 기반한 금융지원 개념을 제안했다. 이후 SK는 2015년부터 약 10년간 사회적 기업을 대상으로 사회문제 해결 성과를 측정하고 현금 인센티브를 주는 프로젝트를 진행했다.

10년간 이 프로젝트에 참여한 사회적 기업은 약 500여개, 이 기업들이 창출한 사회문제 해결 성과는 약 5000억원, 이 기업들에게 SK가 보상으로 지급한 인센티브는 약 700억원이다.

이날 개회식에서 발표된 보고서의 ‘사회적 가치 거래’는 긍정적인 사회성과를 거래가능한 자산으로 전환하고 이를 통해 시급한 사회문제를 해결하는 시장 메커니즘을 의미한다.

이는 기업이 사회문제를 해결하면 해당 성과를 화폐적으로 측정하고 일정 부분에 대해 어떤 형태로든 크레딧(Credits)을 제공하고 교환하는 시장 시스템이다.

예를 들면 정부는 사회문제를 해결한 기업에 대해 직접 보상하거나 세액공제 및 세액공제권 거래제도를 지원할 수 있고, 기업은 기존 비즈니스 모델에 사회문제 해결 요소를 넣고 성과에 따라 경제적 보상을 받아서 기업의 경제적 가치를 높일 수 있다.

시장 참여자들은 그런 기업의 성과를 시장 가치로 인정하고 사고 팔 수도 있고 금융상품으로 만들 수도 있다. 쉽게 말해 사회적 가치로 돈을 벌 수 있는 새로운 시장이 생기는 것이다.

한편 슈왑재단은 2024년 기준 전 세계 10만명 이상의 사회적 기업가를 지원하는 120개 이상 기관 회원과 약 500여명의 세계적으로 영향력 있는 기업가와 사회혁신가들로 구성돼 있다. 세계경제포럼(WEF)이 1998년에 설립한 글로벌 최고 수준 사회혁신 네트워크로 평가된다.

[서울=뉴시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오늘의 추천영상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