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인공지능(AI) 업체 딥시크가 중국 군 및 정보기관에 기술을 제공하고 있으며, 사용자 데이터를 중국 정부에 넘기고 있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23일(현지 시간)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미국 국무부의 한 고위 관계자는 “딥시크가 중국의 군사 및 정보 작전에 기꺼이 기술 지원을 제공했으며 앞으로도 계속 제공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알고 있다”고 했다. 그러면서 “딥시크가 사용자 정보와 통계를 베이징의 감시 기관과 공유하고 있다는 의혹도 있다”고 덧붙였다.
딥시크가 동남아시아 페이퍼컴퍼니를 통해 미국의 고성능 AI칩을 확보했다는 주장도 나왔다. 딥시크가 동남아시아를 통해 엔비디아의 ‘H100′ 칩을 우회적으로 입수하려 했다는 것이다. ‘H100′은 미국의 수출 통제에 따라 2022년부터 중국으로 수출이 금지된 엔비디아의 고성능 AI칩이다. 이 관계자는 “딥시크는 동남아시아의 껍데기 회사를 이용해 수출 통제를 회피하려 했으며, 미국 칩에 접근하기 위한 우회 방법으로 동남아시아의 데이터센터에 접근하고 있다”고 했다.
이와 관련해 로이터는 “딥시크의 급속 성장이 미국 AI칩과 기술에 의존했을 것이란 확신이 커지고 있다”며 “알려진 딥시크의 역량이 과장됐을 수 있다”고 분석했다.
올 초 미국의 강력한 수출 통제에도 불구, 딥시크가 저비용으로 오픈AI의 챗GPT 신형 모델과 맞먹는 고성능 AI모델을 만들어내며 전세계를 놀라게 했다. 당시 딥시크가 사용한 H800은 미국의 고성능 반도체 수출 규제로 엔비디아가 H100의 사양을 낮춰 출시한 제품이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