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악의 건설경기…종사자 10만명 줄고, 채용도 15.3% 감소

  • 동아일보
  • 입력 2025년 6월 26일 14시 16분


코멘트

제조업도 20개월 연속 감소세

사진은 서울 시내의 대형 아파트 건설현장 모습. 뉴시스
국내 건설경기 침체로 인한 건설 고용시장 악화가 계속되고 있다. 지난달 건설업 종사자는 1년 전보다 10만 명 넘게 줄며 7% 이상 급감했고, 채용 규모도 두 자릿수 비율로 줄어들었다. 전체 사업체 종사자 수 감소세는 멈췄지만 경기 둔화가 제조업까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용노동부가 26일 발표한 ‘2025년 5월 사업체노동력조사’에 따르면, 1인 이상 사업체의 종사자 수는 올해 5월 말 기준 2029만9000명으로 전년 동월과 동일한 수준을 유지했다. 다만 건설업, 제조업 등 전체 고용시장에서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는 업종들의 경우 ‘고용 한파’가 계속됐다.

건설업은 전년 같은 달보다 10만4000명 줄어든 138만6000명으로 집계돼 지난해 6월 이후 12개월 연속 감소세를 이어갔다. 감소율은 -7%로, 전 산업 중 가장 컸다. 도매 및 소매업(-2만9000명, -1.3%)도 감소세가 이어졌으며, 종사자 수 비중이 가장 큰 제조업 역시 전년 대비 1만2000명(-0.3%) 줄어 2020년 10월 이후 20개월 연속 마이너스 행진을 기록했다. 김재훈 고용부 노동시장조사과장은 이날 오전 브리핑에서 “(건설업은) 굉장히 상황이 안 좋은 게 보인다”며 “반등의 기미가 잘 보이지 않는다”고 설명했다.

해당 업종들은 채용되는 인원 수도 급격히 줄었다. 특히 건설업 채용은 25만3000명으로 전년보다 4만6000명 감소(-15.3%)해 전체 산업 가운데 가장 큰 폭의 감소세를 보였다. 숙박·음식점업과 제조업 채용 역시 전년동월대비 각각 -7.6%, -9.6% 줄었다.

고용자 수가 많은 업종들이 주춤하면서 입직과 이직도 줄어들었다. 5월 중 입직자는 86만4000명으로 전년 동월보다 6만1000명(-6.6%) 줄었고, 이직자도 84만3000명으로 5만4000명(-6.0%) 감소했다.

고용부 관계자는 “사실 건설업의 경우 일단 경기가 살아나는 게 중요한데 원자재 가격 상승, 국제 정세 등의 영향으로 (경기가 살아나는 것이) 어려운 상황이라 범정부 차원의 대응이 필요하다”이라며 “고용부에서는 인력 양성 사업 및 이, 전직 지원사업, 건설근로자공제회를 통한 취업지원, 생계가 어려운 근로자들을 위한 생계비 대출 완화 등으로 다각적으로 지원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올해 4월 기준 임금은 근로자 1인당 명목임금 총액은 397만1000원으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10만5000원(2.7%) 올랐다. 소비자 물가 수준을 고려한 실질임금 상승률은 0.6%로 나타났다.

©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