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남3구 빌라 평균 상승률 25.8%
노도강 아파트보다 6.1%P 높아
대형 평수일수록 ‘역전 현상’ 더 커
최근 5년간 서울 ‘강남 3구’(강남·서초·송파구) 빌라 가격 누적 상승률이 같은 기간 ‘노도강’ (노원·도봉·강북구) 아파트 상승률을 앞지른 것으로 나타났다. 빌라 가격은 아파트보다 덜 오르는 게 일반적인데, 서울에서도 강남권 위주로 집값이 크게 오르면서 주택 유형보다 입지가 가격에 미치는 영향이 더 커졌다는 분석이 나온다.
26일 부동산 중개업체 집토스가 국토교통부의 실거래가 자료를 분석한 결과, 2020년부터 올해까지 5년간 강남 3구 연립·다세대주택의 전용면적당 평균 매매가 상승률은 25.8%로 집계됐다. 같은 기간 노도강 아파트 평균 매매가 상승률(19.7%)보다 높았다.
대형 평수일수록 빌라와 아파트 간 가격 역전 현상이 두드러졌다. 전용면적 60∼85㎡인 중형 평형인 강남 3구 빌라 가격은 5년간 30.2% 올랐다. 노도강 아파트 상승률(20.82%)보다 9.38%포인트 높았다. 전용 85㎡ 초과하는 강남 3구 빌라는 41.48% 오를 때 노도강 아파트는 22.47% 오르는 데 그쳐 상승률 격차는 19.01%포인트에 달했다.
부동산 업계에서는 ‘투자는 무조건 아파트’라는 공식이 허물어지고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같은 서울에서도 강남권처럼 핵심지를 선호하는 현상이 두드러지면서 핵심지에 있는 빌라 가격도 크게 오르고 있다는 것이다.
집토스 관계자는 “과거 10년 치 실거래가를 분석하면 강남권 빌라보다 강북권 아파트가 더 올랐지만, 최근 5년 분석 결과에서는 이런 공식이 더 이상 유효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이축복 기자 bless@donga.com
©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