李정부 출범이후 첫 임단협 돌입
현대차-기아 勞 “위로금 등 2000만원”
한국지엠 ‘신차 생산 배정’ 안건 올려
“임금 넘어 고용-경영문제 갈등 우려”
현대자동차 노사 관계자들이 18일 현대차 울산공장 본관에서 ‘2025년 임금 및 단체협상 교섭 상견례’를 하고 있다. 현대차 제공
이재명 정부 출범 이후 완성차 업계의 첫 임금 및 단체협상(임단협)이 본격화됐다. 국내 자동차 업계의 ‘맏형’인 현대자동차 노사가 이번 주부터 본교섭을 시작했다. 김영훈 전 민주노총 위원장이 고용노동부 장관 후보자로 지명되는 등 새 정부의 노동 정책이 구체화 되는 상황에서 완성차 노조가 요구안 관철을 위해 예년보다 더욱 강한 드라이브를 걸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26일 업계에 따르면 현대차 노조는 이날 오전 열린 3차 교섭에서 사측에 노조 요구안을 설명했다. 18일 상견례와 25일 사측 설명회, 이날 교섭까지 서로의 입장을 확인한 노사는 다음 달 1일 열리는 4차 교섭부터 치열한 공방을 벌일 것으로 예상된다.
이번 현대차 임단협에서는 정년 연장과 주 4.5일제 도입이 핵심 쟁점으로 떠올랐다. 두 안건 모두 지난 대선에서 이재명 대통령이 내놨던 노동 부문 공약이다.
현대차 노조는 새 정부 공약의 선제적 도입 필요성을 강조하며 기존 만 60세인 정년을 64세로 늘려야 한다고 주장한다. 전기차·자율주행차 등 미래차 중심으로 산업 구조가 급변하는 상황에서 숙련 인력의 기술을 유지하고 다음 세대에 전수할 시간이 필요하다는 논리다. 금요일 4시간 단축 근무(주 4.5일제)도 임금 삭감 없이 도입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이동석 현대차 대표는 “지부 요구안이 많다. 할 것과 못 할 것을 구분해서 교섭에 임하겠다”고 밝혔다. 반면 노조 측은 “사측이 정년 연장, 해고자 복직 등을 전향적으로 수용해야 한다”고 맞섰다.
현대차 노조는 성과급 등 임금 관련 요구안도 내놨다. 노조는 기본급 14만1300원 인상과 전년도 순이익의 30% 성과급 지급, 상여금 인상(기존 750%→900%) 등을 요구했다. 노조 측 요구대로라면 2024년 현대차 당기순이익이 13조2299억 원으로 사상 최고치에 달한 만큼 지급해야 할 성과급이 약 3조9690억 원에 달한다. 성과급 요구 금액만 비교하면 전년보다 약 2900억 원 더 많다.
대법원이 지난해 12월 정기 상여금을 통상임금에 포함해야 한다고 판결하면서 노조는 요구안에 조합원 1인당 2000만원의 ‘통상임금 위로금’ 지급을 포함시켰다. 대법원은 통상임금 기반의 각종 수당 인상분을 소급 적용해 받는 대상을 소송 당사자로 제한했지만, 노조는 전체 조합원에게 위로금으로 지급해 달라고 요구하고 있다. 노조가 요구하는 위로금은 2022∼2024년 3년 치, 총 8200억 원이다.
● 기아·한국GM도 ‘강경 드라이브’
기아 노조 역시 기본급 14만1300원 인상, 주 4.5일제 도입과 함께 지난해 사상 최대 실적을 근거로 퇴직자 차량 할인 혜택 복원을 요구할 것으로 알려졌다. 기아는 2022년까지 25년 장기근속자와 퇴직자에게 평생 2년에 한 번씩 신차 가격의 30%를 할인해 주는 복지 프로그램을 운영했지만, 과도한 복지라는 비판에 2023년부터 수혜 대상자 연령을 75세까지로 제한하고, 할인율을 25%로 줄였다. 노조는 2000만 원 이상의 특별성과급 지급을 요구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
한국지엠은 노사관계가 크게 악화된 상황이다. 국내 생산 물량의 약 85%를 미국에 수출하고 있는데 미국이 수입차에 25% 관세를 부과하면서 회사의 존립 위기감이 커지고 있다. 한국지엠 노조가 18, 19일 진행한 쟁의행위 찬반투표에서 전체 조합원 6851명 중 6042명(88.2%)이 찬성하며 역대 최고 찬성률을 보였다. 노조는 1인당 6300만 원 상당의 일시금과 함께 ‘신차 생산 배정’ 문제를 1순위 안건으로 끄집어내고 있다. 직원들 사이에서 돌고 있는 고용 불안감 때문으로 풀이된다.
김필수 대림대 미래자동차학과 교수는 “올해 완성차 업체 임단협은 단순한 임금 교섭을 넘어 경영 구조와 고용 문제를 둘러싼 총체적 갈등으로 확산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