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년 된 송전선, 40년 된 변압기… 노후화된 美 전력 시설, 韓 기업들엔 투자 기회

  • 동아일보
  • 입력 2025년 6월 27일 03시 00분


코멘트

美, 전력망 개선에 20조 재정 투입
“현지 생산거점 마련해 대응해야”

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가 들어선 뒤 글로벌 기업들의 미국 진출이 이어지고 인공지능(AI)과 관련 인프라 산업이 성장하면서 미국 내 전력 소비가 급증하고 있다. 이에 따라 전력 설비 분야에서 세계 최고 수준의 경쟁력을 보유한 국내 기업들이 미국 시장에서 선전하고 있다.

26일 에너지 업계 등에 따르면 미국의 연간 총소비전력은 가파른 증가세를 그리고 있다. 2007∼2021년 4000TWh(테라와트시) 미만이었던 미국의 연간 전력 소비량은 2022년 들어 4000TWh를 돌파한 뒤 2023년 4011TWh, 지난해 4097TWh로 늘어났다. 전력 인프라 감시·감독 기구인 북미전력안정성회사(NERC)에 따르면 미국의 전력 수요는 2030년 5000TWh를 돌파해 2034년에는 5353TWh에 다다를 것으로 전망된다.

미국 내 전력 수요가 급증하고 있지만 전력 시설은 노후화됐다. 미국 에너지부에 따르면 미국 송전선의 70%는 최소 25년 전에 설치됐고 대형 변압기 평균 연령은 40년을 넘어섰다.

미국 정부는 증가하는 전력 소비에 대응하기 위해 20조 원에 달하는 재정을 투입해 전력 체계를 재구축하는 사업을 진행 중이다. 전력망 복원 사업에만 총 105억 달러(약 14조3000억 원)를 쏟아붓고 대용량 송전선 설치, 기존 전력망 개선 등에 25억 달러(약 4조 원)를 투자할 계획이다.

이 같은 상황을 기회로 잡고 우수한 기술력을 가진 한국의 전력설비 기업들이 미국 시장을 장악해 가고 있다. 지난해 미국이 수입한 650kVA(킬로볼트암페어) 이하 소형 변압기의 31.2%(4억9000만 달러)가 한국산으로 점유율 1위를 차지했다. 중형 변압기(22.6%)와 대형 변압기(12.0%) 점유율은 2위였다.

다만 트럼프 행정부의 ‘바이 아메리카(미국산 우선 구매법)’ 규제와 관세 정책으로 전력 기자재 역시 미국 내 생산 제품이 선호될 것으로 전망된다. 전문가들은 국내 전력설비 기업들도 현지화 전략이 필요하다고 조언한다. KOTRA는 올 3월 낸 ‘미국 전력망 산업 동향 및 우리 기업 진출 전략’ 보고서에서 “미국 현지 생산 거점을 마련해 급변하는 시장 수요에 조기 대응해야 한다”며 “현지 제조 비중 확대를 통한 미국산 조달 의무화 정책 요건을 충족하면 미국 전력 시장에서의 민영과 공영 발주 수요 모두 대응이 가능하다”고 진단했다.

#전력 소비#미국 진출#인공지능#전력 인프라#전력 수요
©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