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고율 관세정책 영향을 받아 5월 전산업 생산이 두 달째 뒷걸음질 쳤다. 제조업 부진 영향이 가장 컸다. 소매 판매는 3개월째 반등하지 못했고 설비투자도 석 달째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1차 추가경정예산(추경) 집행에도 내수 지표가 내리막길을 걷는 분위기다.
통계청이 30일 발표한 ‘5월 산업활동동향’에 따르면 전(全)산업 생산지수(계절조정·농림어업 제외)는 112.5(2020년=100)로 전달보다 1.1% 줄었다. 올해 1월(―1.6%) 이후 4개월 만에 가장 큰 폭으로 줄었다. 올 4월(―0.8%) 이후 두 달 연속 내림세다.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하면 0.8% 줄며 올해 1월(―3.8%) 이후 넉 달 만에 감소세로 돌아섰다.
미국 관세 영향을 가장 크게 받는 자동차 산업과 국내 건설 시장 부진에 따라 금속가공(―6.9%)이 위축되는 등 광공업(―2.9%)을 포함한 제조업 생산이 3.0% 줄었다. 올해 1월(―3.1%) 이후 4개월 만에 가장 큰 감소 폭이다. 자동차(―2.0%)는 미국 관세정책과 미국 현지생산 비중 증가 등의 영향으로 수출이 줄며 2개월째 생산 감소세가 이어졌다.
소비 지표도 부진이 계속됐다. 부동산 시장 급등세에 따라 서비스업 생산 중 금융·보험(2.8%) 등에서 늘었지만, 정보통신(―3.6%), 운수·창고(―2.4%) 등에서 줄면서 전달보다 0.1% 감소했다. 소매 판매는 내구재(1.2%)와 준내구재(0.7%)에서 판매가 늘었지만, 화장품 등 비내구재(―0.7%) 등에서 줄면서 전달과 같았다.
국내 경제 지표는 1차 추경 집행에도 좀처럼 힘을 받지 못하는 상황이다. 설비투자는 4.7% 줄면서 지난 3월(―0.5%) 이후 석 달째 뒷걸음질 쳤다. 건설기성 역시 건축(―4.6%), 토목(―2.0%)에서 공사 실적이 줄며 전월 대비 3.9% 줄었다. 최창윤 통계청 서비스업 동향 과장은 “공공행정이나 건설업, 제조업·서비스업 등 분야에서 시차를 두고 1차 추경 효과가 나타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앞으로의 경기 상황을 보여주는 동행종합지수 순환변동치는 건설기성액·내수출하지수 등이 줄면서 전달보다 0.4포인트 떨어졌다. 향후 경기 국면을 예고해 주는 선행종합지수 순환변동치도 건설수주액 등이 감소하면서 전월보다 0.1포인트 하락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