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가 최상급 언어 능력을 갖춘 추론 모델 ‘하이퍼클로바X 씽크(THINK)’를 공개했다. 추론 모델은 생각하는 힘이 강화된 인공지능(AI)으로, 사용자가 질문을 입력하면 혼잣말하듯 길게 생각하며 답변을 내놓을 수 있다.
30일 네이버는 생성형 AI 하이퍼클로바X 씽크의 개발을 끝내고 모델의 세부 정보를 소개하는 기술 보고서(테크니컬 리포트)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이 모델은 추론 능력을 바탕으로 언어에 대한 이해 수준을 한층 높였다. 특히 한국어 성능 벤치마크인 ‘코발트(KoBALT)-700’을 기준으로 주요 대규모언어모델(LLM)의 언어 능력을 측정한 결과, 유사 규모로 구축된 국내 추론 모델이나 글로벌 최고 수준의 오픈소스 모델보다 높은 점수를 기록했다. 또 다른 한국어 성능 평가 지표인 ‘해례-벤치(HAERAE-Bench)’에서도 추론 모델을 포함한 국내외 주요 오픈소스 모델보다 점수가 높았다.
하이퍼클로바X 씽크는 언어뿐만 아니라 시각 정보를 바탕으로 추론할 수 있는 기술도 확보했다. STEM(과학, 기술, 공학, 수학) 문제를 이미지 형식으로 입력했을 때 이를 인식하고 추론해 정답을 맞힌 것으로 나타났다.
네이버는 추론 모델을 오픈소스로 공개할 계획이다.
김하경 기자 whatsup@donga.com
©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