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그룹, “소비자 피드백 듣고 차 만든다” …강남역 UX 스튜디오 개관

  • 동아경제
  • 입력 2025년 7월 2일 09시 00분


코멘트

강남대로 사옥에 세계 최초 상시 고객 참여 연구소
오픈랩과 어드밴스드 리서치 랩으로 구성
사용자 피드백 접수… “자동차 개발에 적극적으로 반영할 것”

“현대차그룹의 차를 타는 소비자분들 목소리에 귀 기울일 것입니다. 이곳에서 해주신 조언들을 귀담아듣고 차량 개발에 적극적으로 활용할 예정입니다. 이와 같은 선순환을 통해 훨씬 더 좋은 차를 만들 수 있지 않을까요?”

현대자동차와 기아는 지난 1일 서울 강남구 강남대로 사옥 1~2층에 ‘UX 스튜디오 서울’을 개관하고, 고객이 직접 참여해 미래 모빌리티 사용자 경험(UX)을 설계하는 세계 최초 상시 연구 거점을 운영한다고 2일 밝혔다.

현장에서 만난 남신 현대차·기아 UX 전략팀장은 소비자 목소리를 적극적으로 반영해 더 좋은 차를 만들겠다고 강조했다.

2021년 서초구에서 운영되던 기존 UX 스튜디오를 강남대로로 이전해 새롭게 단장한 이 공간은 현대차·기아의 모빌리티 UX 핵심 가치를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고객 접근성이 높은 장소에 설립됐다. 기존 스튜디오는 연구원 협업과 비공개 고객 조사를 위한 플랫폼이었으나, 새 ‘UX 스튜디오 서울’은 모든 고객이 차량 UX 개발에 참여할 수 있는 개방형 연구 플랫폼이다.

방문객은 미래 모빌리티를 체험하고 선행 UX 연구에 참여해 차량 개발에 의견을 반영할 수 있다. 이는 일반 고객이 상시로 차량 UX 개발에 참여하는 세계 최초의 체계적 플랫폼이라고 한다.

‘UX 스튜디오 서울’은 전동화, 자율주행 등 미래 모빌리티 패러다임 전환 속에서 디자인, 주행 성능, 인포테인먼트, 편의사양 등 모든 요소에서 차별화된 사용자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마련됐다. 1층 ‘오픈랩’과 2층 ‘어드밴스드 리서치 랩’으로 구성되며, 가이드의 상설 프로그램을 통해 전시 체험과 리서치 참여를 지원한다. 상세 정보와 예약은 UX 스튜디오 홈페이지에서 할 수 있다.

김효린 현대차·기아 Feature 전략실 상무는 “현대차그룹의 UX는 편리함을 넘어 감동적인 경험을 제공하는 것이다. UX 스튜디오 서울은 고객 목소리를 차량 개발에 반영해 혁신적인 모빌리티 경험을 창출하는 공간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1층 ‘오픈랩’은 UX 테스트 존, SDV 존, UX 아카이브 존으로 구성된 고객 개방형 공간이다. 방문객은 UX 연구 과정을 체험하고, SDV(소프트웨어 중심 차량) 기술을 경험하며 의견을 낼 수 있다. 상주하는 직원들에게 생각을 말하거나 포스트잇을 붙여 글을 남길 수도 있다.

UX 테스트 존은 UX 인사이트, 콘셉트, 검증 구역으로 나뉘어 UX 개발 과정을 소개한다. 대형 디스플레이로 연구 과정을 확인하고, 도어, 시트, 무빙 콘솔 모형을 체험하며 아이디어를 제안할 수도 있다. VR 기기 등을 활용해 차량 공간과 UX를 경험하고, 가상 주행 시뮬레이션을 통해 현대차그룹이 개발 중인 다양한 기술 등도 체험할 수 있다고 한다.

SDV 존은 E&E(전기·전자) 구조와 Pleos Connect(플레오스 코넥트)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을 전시한다. E&E 아키텍처는 주요 부품들을 경량화하고 차량을 간결하고 명확하게 제작하는 과정이라고 한다. 플레오스 코넥트는 AI 음성 서비스를 통해 자동차의 UX를 경험할 수 있는 현대차그룹의 새로운 기술이다. 현장에서 음성 테스트를 직접 해볼 수 있으며 개발 중인 세부 기술들을 소개받을 수 있다.

UX 아카이브 존은 인체 오감을 주제로 현대차·기아 UX 변천사를 기록했다. 첫 주제 ‘시각의 경험’은 클러스터, HUD, 디지털 사이드미러 등 시각 기술의 진화를 전시했다.

2층 ‘어드밴스드 리서치 랩’은 UX 캔버스 및 개발 룸, 시뮬레이션 룸, UX 라운지, 차량 전시 공간으로 구성되며, 연구원과 사전 모집된 사용자가 UX 연구를 수행한다.

UX 캔버스 및 개발 룸은 워크숍과 세미나로 아이디어를 내고, 자율주행, 고성능 차량 등 분야별 UX 콘셉트를 개발한다. 사전 모집된 사용자만 참여 가능하며, 가변적 공간으로 내부 구조가 변화하며 새로운 연구를 거듭하고 있다고 한다.

시뮬레이션 룸은 준중형 세단부터 대형 SUV까지 구현 가능한 가변 테스트 공간으로, 6축 모션 시뮬레이터, 191도 시야각의 730개 LED 모듈 디스플레이로 실제 같은 주행 환경을 만들었다. 서울, 샌프란시스코, 델리 등 글로벌 도시와 레이싱 서킷 기반 가상 환경에서 UX를 검증하며, 카메라와 센서로 운전자 데이터를 수집한다고 한다.

현대차·기아는 SDV 전환을 가속하며 즐거운 이동 경험을 구현하기 위해 소비자 의견을 적극적으로 반영하겠다는 방침이다. 서울 외에 중국 상하이, 독일 프랑크푸르트, 미국 어바인 등 글로벌 UX 스튜디오에서도 현지 목소리를 청취해 향후 나올 신차의 UX 개발에 적용한다는 계획이다.



©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