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강도 주택담보대출(주담대) 규제 대책을 발표한 정부가 대출 조이기에 나서면서 은행권도 주담대 금리를 높게 유지하는 등 대출 관리에 고삐를 죄고 있다.
6일 금융권에 따르면 KB국민, 신한, 하나, 우리 등 4대 시중은행의 주담대 금리는 3.97∼5.30%(신규 코픽스 6개월 기준) 사이에 분포돼 있다. 이는 4대 은행의 신용대출 평균 금리(3.94∼4.94%)보다 높은 수준이다. 주담대 금리가 신용대출 금리보다 높게 책정되는 것은 이례적인 일이다.
은행권은 대출 관리 차원에서 주담대 금리를 사실상 ‘못 내리고’ 있는 상황이다. 앞서 금융당국은 하반기 가계대출 총량 목표치를 절반으로 감축했으며, 이에 따라 은행들은 기존 총량 목표치보다 가계대출 잔액을 10조 원 이상 추가로 줄여야 한다.
일부 시중은행들은 주담대 금리를 인상하는 식으로 대응하고 있다. 기준금리가 인하 국면이라 시장금리는 하락하고 있지만, 주담대 금리에 추가로 붙는 가산금리를 높여 대출 수요를 간접적으로 억제하려는 것이다. 우리은행은 최근 5년마다 금리가 바뀌는 주담대 금리를 0.06%포인트 올렸으며 신한은행은 변동형 주담대 금리를, 하나은행은 대환대출(대출 갈아타기) 금리를 높였다.
시중은행의 서울 소재 지점장은 “고객들의 (대출) 신청을 모두 다 접수하면 연간 목표치를 훌쩍 넘을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며 “신규 대출 자체를 적극적으로 취급하기 쉽지 않으며, 당분간 이런 기조가 이어질 것 같다”고 분위기를 전했다.
한편 이달 10일로 예정된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는 기준금리를 현재 수준인 연 2.50%로 동결할 가능성이 큰 상황이다. 5월에 이어 기준금리를 또 한번 낮추면 서울 집값과 가계부채를 추가로 자극할 위험이 크기 때문이다. 앞서 한은은 지난달 27일 국정기획위원회 업무보고에서 과열이 지속되면 “다음 달까지 전체 금융권 주담대가 8조 원 가까이 급증할 것”이라고 예측하기도 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