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달땐 글로벌 공급망 배제 가능성
2042년까지 탄소 중립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원자력 에너지를 전력구매계약(PPA) 대상에 포함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14일 한국경제인협회는 국내 4대 에너지 다소비 산업인 철강·석유화학·반도체·데이터센터에서만 2042년에 21.4TWh(테라와트시)의 무탄소 전력이 부족하다고 밝혔다. 올해 연간 서울 소비 전력의 46.7%에 달한다. 무탄소 전력은 탄소 배출이 없는 재생에너지 발전을 통해 발생한 전력을 뜻한다. RE100(재생에너지 100% 사용) 가입한 기업들은 2042년까지 필요한 전력량의 100%를 무탄소 전력을 통해 조달하겠다는 목표를 세우고 있다.
한경협은 국내 4대 산업의 전력수요를 무탄소 전력으로만 충당할 수 있는 비율은 올해 기준 53.4%에 불과하다고 지적했다. 탄소중립 목표 달성에 미달할 경우 국내 기업이 글로벌 공급망에서 배제될 수 있다.
한경협은 무탄소 전력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PPA 대상에 기존 원전을 포함하는 등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PPA는 계약 기간에 정해진 가격으로 전력을 공급받는 방식이다. 실제 미국이나 프랑스 등 주요국은 PPA를 통해 조달 가능한 무탄소 전력에 원전을 포함했지만, 국내 전기사업법에서는 재생에너지로 한정하고 있다
한경협은 “기존 원전을 PPA에 포함하고, 원전 이용률을 10%포인트 높이면 2042년 무탄소 전력 충당률이 101.8%로 높여 탄소 중립 목표를 초과 달성할 수 있다”고 했다.
이동훈 기자 dhlee@donga.com
©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