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중견기업 약 60%가 올해 하반기 투자 계획이 전무한 것으로 조사됐다. 내수침체 장기화와 대내외 불확실성이 겹쳐 투자 심리를 위축시키고 있다.
15일 한국중견기업연합회(중견련)의 ‘2025년 하반기 중견기업 투자 전망 조사’에 따르면 올해 하반기 투자 계획이 없다고 밝힌 중견기업은 62.8%였다. 이번 조사는 지난 5월 26일부터 16일간 중견기업 800개사를 대상으로 이뤄졌다.
투자 계획이 없다고 밝힌 기업들은 이유로 ‘불확실한 시장 상황(38.0%)’을 1순위로 꼽았다. ‘투자 불필요 업종(25.5%)’, ‘경영 실적 악화(19.3%)’, ‘이미 투자 완료(12.4%)’, ‘신규 투자처 미확보(3.6%)’순이었다.
이는 내적으론 저성장, 외적으로는 미국의 관세 압박에 시달리는 한국 경제 상황과 무관치 않아 보인다. 경제개발협력기구(OECD)가 지난 6월 한국의 올해 잠재성장률을 1.9%로 추정했는데 2001년 이후 OECD의 한국 잠재성장률 추정치가 2%를 하회한 건 이번이 처음이다.
한편 하반기 투자 계획을 보유했다고 밝힌 중견기업(37.2%)들은 ‘국내 설비 투자(69.5%)’를 가장 많이 할 것으로 예상됐다. ‘국내 연구개발(R&D) 투자(40.3%)’, ‘해외 투자(17.4%)’가 뒤를 이었다. 투자 목적은 ‘기존설비 개보수(36.2%)’가 가장 높았다.
투자 계획이 있는 중견기업 중 상반기 대비 투자를 늘릴 것이라고 답한 업체의 비율은 39.3%였다. 상반기 대비 동일 수준 유지는 40.6%, 투자 감소는 20.1%였다. 상반기보다 투자를 확대하겠다고 한 중견기업들은 ‘신사업 진출(29.0%)’, ‘주력사업 확장(24.8%)’, ‘노후설비 개선·교체(22.2%)’등을 이유로 밝혔다.
투자 자금 조달 방법은 ‘내부자금 활용(49.6%)’이 가장 많았고 ‘금융권 차입(39.6%)’, ‘주식·회사채 발행(5.8%)’, ‘정책 금융 활동(5.0%)’이 그다음이었다.
중견기업인들은 투자 활성화를 위해 가장 필요한 정책 지원으로 ‘R&D·설비 투자 세제 지원 확대 등 세재 개선(37.1%)’을 요구했다. 이외에 ‘물가 안정 및 내수 활성화(22.0%)’, ‘금리 인하(17.9%)’, ‘노동 등 경영 환경 개선(10.0%)’이 언급됐다.
이호준 중견련 상근부회장은 “과감한 규제 해소, 세제 지원 및 정책 금융 강화 등 중견기업이 투자 확대를 견인할 실효적 조치가 이뤄질 수 있도록 정부, 국회와 적극 소통할 것”이라고 전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