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 ‘경쟁력 강화’ AI-반도체-바이오 공격적 투자 나설 듯

  • 동아일보
  • 입력 2025년 7월 18일 03시 00분


코멘트

[이재용 무죄 확정]
글로벌 반도체 주도권 탈환 시급
미래 먹거리 대규모 M&A 가능성도
재계 “삼성 사법리스크 해소 다행”

서울 서초구 삼성전자 서초사옥의 모습. 뉴스1
서울 서초구 삼성전자 서초사옥의 모습. 뉴스1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이 17일 대법원에서 무죄 판결을 받으면서 재계에서는 삼성이 조만간 이른바 ‘잃어버린 9년’을 극복할 수 있는 경쟁력 강화에 나설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인공지능(AI)과 반도체, 바이오 등의 분야에 집중 투자하는 한편 대규모 인수합병(M&A)에 적극 나설 것이란 관측이다.

이 회장은 이날 대법원이 1, 2심의 무죄 판단을 받아들이면서 2016년 국정농단 사건에 휘말렸던 것부터 시작된 9년간의 혐의를 모두 벗게 됐다.

하지만 이 회장이 장기간의 법정 공방을 계속하면서 그로 인해 발생한 경영 공백은 최근 삼성전자 상황에 고스란히 반영돼 있다. 반도체 사업의 파운드리와 시스템LSI(설계) 등의 분야는 조 단위 적자가 이어지고 있다. 메모리 분야는 AI라는 ‘메가 트렌드’에 제대로 탑승하지 못하면서 글로벌 점유율 1위 수성이 위태롭다. 회사 외부적으로도 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고관세 정책, 상법 개정 등 다양한 리스크가 부각되면서 앞으로의 경영 환경이 녹록지 않다는 분석이 나온다.

재계는 이런 위기 극복을 위해 이 회장이 공격적인 경영에 나설 것으로 보고 있다. 이 회장은 이미 2심 무죄 판결 이후인 3월에 “삼성은 ‘죽느냐 사느냐’의 생존의 문제에 직면했다”며 “사즉생의 각오로 행동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앞으로 첫 해결 과제로는 반도체 사업 경쟁력 상승이 꼽힌다. 특히 수요 예측 실패로 주도권을 넘겨준 고대역폭메모리(HBM) 기술 경쟁력 강화가 핵심이다. 반도체 업계 관계자는 “실적 개선을 위해서는 엔비디아 등 빅테크 업체의 반도체 수주를 따내야 하는데 여기에 이 회장의 글로벌 네트워크를 활용해야 할 상황”이라고 말했다.

또 올 5월 삼성바이오로직스를 인적분할하면서 바이오의약품 위탁생산개발(CDMO)과 바이오시밀러(복제약)·신약 개발을 나눈 만큼 바이오 분야에 대해서도 적극 투자할 가능성이 점쳐진다.

AI나 반도체, 바이오 등 미래 핵심 분야에서 대규모 M&A에 나설 가능성도 있다. 삼성전자는 이 회장의 2심 무죄 선고 이후 올해 들어서만 3건(독일 공조기 회사 플렉트그룹, 미국 마시모 오디오사업, 미국 헬스케어 플랫폼 젤스)의 M&A를 진행했다. 이 회장의 이날 대법원 무죄 선고 이후에 이런 M&A 움직임이 더욱 가속화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이 30일 서울 중구 신라호텔에서 열린 2025 삼성호암상 시상식에 참석하고 있다. 2025.5.30 뉴스1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이 30일 서울 중구 신라호텔에서 열린 2025 삼성호암상 시상식에 참석하고 있다. 2025.5.30 뉴스1
외신 역시 이 회장의 무죄 선고에 따른 삼성전자의 ‘사법 리스크 해소’에 주목하고 있다. 블룸버그통신은 “사법 리스크가 해소되면서 삼성전자가 첨단 반도체 시장에서의 주도권 탈환과 사업 정상화에 집중할 수 있게 됐다”고 보도했다.

한편 재계는 이날 일제히 대법원의 무죄 선고에 대해 환영의 메시지를 내놓았다. 한국경제인협회는 “이번 판결은 삼성그룹이 첨단 기술 혁신에 집중하고, 글로벌 기업 경쟁력을 확보하는 중요한 계기가 될 것”이라고 했다. 한국경영자총협회는 “대법원의 이 회장에 대한 무죄 판결을 통해 삼성전자의 사법 리스크가 해소돼 매우 다행”이라고 밝혔다.

#삼성전자#사법 리스크#경영 공백#글로벌 경쟁력
©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