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일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린 ‘조선해양산업 ESG 규제대응 및 공급망강화방안 토론회’에 참석한 홍기용 선박해양플랜트연구소장(오른쪽에서 다섯 번째)이 참가자들과 포즈를 취하고 있다.
“조선 산업 특화형 ESG(환경·사회·지배구조) 지표 개발과 포털 시스템 등을 구축해 규제에 대응해야 한다.”
18일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린 ‘조선해양산업 ESG 규제대응 및 공급망강화방안 토론회’에서는 글로벌 ESG 규제 강화에 맞서 국내 조선업계와 정부, 협력사들이 공동 대응에 나서야 한다는 목소리가 쏟아졌다. 문대림 국회의원이 주최하고 선박해양플랜트연구소(KRISO)가 주관한 이날 토론회에는 조선해양분야 ESG경영협의회와 업계 학계 전문가들이 한자리에 모였다.
윤영진 상명대 교수는 “정부가 다양한 ESG 지원정책을 마련하고 있지만, 조선업에 특화된 진단 체계가 부족하다”고 지적했다. 각 조선사별 평가 기준이 상이해 동일 협력사에 대해 상반된 결과가 나오는 경우가 적지 않다는 것이다. 윤 교수는 “산업 특화형 ESG 표준 모델 개발과 디지털 추적 시스템, 블록체인 기반 인증 인프라, 그리고 지능형 ESG 포털 구축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면서 KRISO와 같은 공신력있는 공공주체의 역할이 중요하다고 제언했다.
심정은 HD한국조선해양 상무는 글로벌 환경 규제가 산업 판도를 바꾸고 있다고 경고했다. UN 산하 국제해사기구(IMO)는 2050년 넷제로를 목표로, 2030년까지 온실가스 20%, 2040년까지 70% 감축이라는 중간 목표를 제시했고, EU는 해상 연료기준(FeulEU MARITIME)과 배출권 거래제를 강화하고 있다. 심 상무는 “조선업 전반에 친환경 기술 혁신이 불가피하다”며 “기술 초격차 확보가 생존 조건이 됐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중국이 막대한 생산 능력과 정부 지원을 바탕으로 친환경 고부가가치선 수주를 빠르게 늘리며 한국 조선산업을 위협하고 있다”며 “기술 표준 선점, 환경 문제 공동 대응을 위한 전후방 산업 협력 등 산업 전반의 경쟁우위를 위한 전략적 접근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대구가톨릭대학교 정성훈 교수가 좌장으로 진행한 토론에서도 “공급망 전반의 공동 대응 체계를 마련해야 한다”는 주장이 이어졌다. 류희진 HD현대중공업 상무는 “조선 3사가 통일된 ESG 평가 지표를 통해 중소 협력사들이 규제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제안했고, 김도완 한화오션 전무는 “중국의 공격적인 친환경 선박 수주에 대응하려면 중소기업에 대한 체계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주용 삼성중공업 전략그룹장 역시 “조선3사는 정기적인 모임을 갖고 통일된 기준을 마련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며 “산업 전체가 하나의 시스템으로 움직여야 국제 경쟁에서 살아남을 수 있다”고 말했다.
문대림 의원은 개회사를 통해 “산업 특성에 맞는 맞춤형 ESG 모델과 공급망 전반의 리스크 관리 체계를 마련하겠다”며 “조선해양 산업이 세계시장을 선도하고 동시에 탄소중립과 포용 성장을 달성할 수 있도록 입법과 정책적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밝혔다.
홍기용 KRISO 소장은 축사를 통해 “KRISO는 ESG 진단 지표 개발과 친환경 기술 실증 경험을 토대로, 앞으로는 민관연 협력을 연결하는 기술 플랫폼 역할을 강화하겠다”며 “규제 대응을 넘어 산업의 지속 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해 전략적 연대가 절실하다”고 말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