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퇴직연금 갈아타기’ 시 계좌를 새로 만들어야만 실물이전 가능 여부를 확인할 수 있었던 불편함이 21일부터 사라진다. 400조 원이 넘는 퇴직연금 자금을 유치하기 위한 금융사 간의 경쟁도 더욱 거세질 것으로 보인다. 고용노동부와 금융감독원은 ‘퇴직연금 실물이전 사전조회 서비스’를 21일부터 개시한다고 20일 밝혔다. 퇴직연금 실물이전 서비스는 한 금융사에 가입한 퇴직연금 상품을 중도해지나 환매 등에 따른 불이익 없이 다른 금융사로 옮길 수 있는 서비스다. 지난해 10월 31일부로 시행돼 8개월간 누적 8만7000건, 총 5조1000억 원의 이용 실적을 기록했다.
이처럼 수요는 많지만 기존에는 가입자가 새롭게 이전하려는 금융사에 먼저 계좌를 개설한 뒤 실물이전을 신청한 뒤에야 실물이전이 가능한지 알 수 있다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번 서비스가 도입되면 가입자는 은행, 증권, 보험 등 다수의 퇴직연금 사업자를 대상으로 보유 상품의 실물이전 가능 여부를 계좌 신설 전 확인하고, 자유롭게 퇴직연금을 옮길 곳을 선택할 수 있다.
실물이전 사전조회는 가입자가 기존에 이용 중인 금융사에 타 금융사 퇴직연금 상품에 대한 사전조회를 신청하면, 신청을 받은 금융사가 실물이전 가능 여부를 회신받아 다시 가입자에게 조회 결과를 제공하는 방식으로 이뤄진다. 사전조회는 홈페이지, 모바일 앱 등 온라인에서만 신청할 수 있고, 1∼2영업일 내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실물이전 사전조회 서비스 개시 이후 금융사들의 퇴직연금 유치 경쟁이 더욱 치열해질 것으로 보인다. 각 은행은 하반기 대기업 퇴직 예정자들을 대상으로 세미나를 열거나 홍보물을 만들어 배포하고 있고, 일부 은행은 우대금리를 앞세워 퇴직자들을 공략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한 시중은행 관계자는 “기존에는 퇴직연금을 옮기려다 거부 통보를 받아 며칠씩 목돈이 붕 뜨는 경우가 있었는데 서비스 개시 후에는 빠르게 선택에 필요한 정보를 얻을 수 있어 요즘처럼 시장 변동성이 큰 시기에 이전이 늘어날 것”이라고 내다봤다.
금융감독원 관계자는 “이번 사전조회 서비스 개시로 가입자의 선택권이 확대되면서 퇴직연금 시장의 건전한 경쟁이 촉진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전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