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동아일보
오피니언
정치
경제
국제
사회
문화
연예
스포츠
헬스동아
트렌드뉴스
통합검색
언어선택
방문하고자 하는 언어의 홈페이지를 선택하세요.
한국어
English
中文(簡体)
日本語
마이페이지
전체메뉴 펼치기
경제
국민 10명 중 9명이 국토 16.5%에 몰려 산다
뉴스1
업데이트
2025-07-23 06:07
2025년 7월 23일 06시 07분
입력
2025-07-23 06:07
2025년 7월 23일 06시 07분
코멘트
개
좋아요
개
코멘트
개
공유하기
공유하기
SNS
퍼가기
카카오톡으로 공유하기
페이스북으로 공유하기
트위터로 공유하기
URL 복사
창 닫기
즐겨찾기
읽기모드
뉴스듣기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가
가
가
가
가
창 닫기
프린트
도시지역 인구 비율 전년과 동일, 성숙기 진입
경기 침체로 개발행위허가 18.6만 건…3년 연속 감소
국토부 제공.
국토 면적의 16.5%인 도시 지역에 국민의 92%가 거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년과 동일한 수준으로 도시지역 인구 비율이 성숙기에 접어들었다는 분석이다.
국토교통부와 한국국토정보공사는 지난해 기준 도시계획현황 통계를 공표했다고 22일 밝혔다.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국토 면적은 10만 6567㎢이며, 도시지역 면적은 1만 7639㎢로 국토 면적의 16.5%를 차지했다.
주민등록인구의 92.1%인 4715만 명이 도시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으며, 이는 전년과 동일한 수준이다.
도시지역 인구 비율은 2000년까지 급속하게 증가했으나, 2005년 이후 90% 수준을 유지하면서 성숙기에 접어든 것으로 분석된다.
전 국토(10만 6567㎢)의 토지이용을 나타내는 용도지역은 간척사업 등으로 2019년 10만 6211㎢ 대비 356㎢(0.3%↑) 증가했다.
용도지역은 도시지역 1만 7639㎢(16.5%), 관리지역 2만 7342㎢(25.7%), 농림지역 4만 9189㎢(46.2%), 자연환경보전지역 1만 1872㎢(11.1%), 미지정지역 525㎢(0.5%)로 구분돼 있다.
2014년 비시가화지역의 난개발 방지를 위해 도입된 성장관리계획구역은 지난해 1만 1975개소, 4259㎢로 집계됐다.
특히, 지난해는 2023년 대비 최대 폭으로 증가(3360㎢↑, 373.7%)했는데, 계획관리지역에서 공장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성장관리계획수립을 의무화함에 따른 영향으로 풀이된다.
부동산 경기 침체로 개발행위허가는 18만 6080건으로 최근 3년간 감소세를 이어가고 있다.
이 가운데 건축물의 건축(9만 769건, 48.8%)이 가장 많고, 토지형질 변경(5만 949건, 27.4%), 공작물의 설치(2만 7401건, 14.7%) 순으로 조사됐다.
장기미집행 도시·군계획시설은 36만 6000개, 7196㎢로 10년 전 대비 63.9% 감소했다.
면적기준으로 살펴보면 도로·철도 등 교통시설이 2302㎢(32.0%)로 가장 많고, 하천·유수지 등 방재시설 2242㎢(31.2%), 공원·녹지·광장 등 공간시설 1208㎢(16.8%) 순으로 나타났다.
도시계획현황 통계의 상세한 자료는 토지이음 및 지표누리를 통해 23일부터 확인할 수 있다.
(서울=뉴스1)
좋아요
0
개
슬퍼요
0
개
화나요
0
개
댓글
0
댓글을 입력해 주세요
등록
오늘의 추천영상
지금 뜨는 뉴스
‘사기 대출 혐의’ 양문석 의원, 2심도 당선무효형
여친과 이별 뒤 “모두 엄마 탓” 주먹질한 30대 징역 1년 선고
3기 신도시 첫 입주까지 9년… 2년 더 늦어져 주택공급 ‘삐걱’
창 닫기
닫기
댓글
0
뒤로가기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