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이어진 폭염에 폭우까지 겹치면서 배추·시금치 등 주요 농산물 가격도 한 달 동안 최대 2배 이상 상승한 27일 서울 서초구의 한 대형마트를 찾은 고객이 배추를 고르고 있다.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농산물유통정보에 따르면 지난 23일 기준 배추 1포기 소매가격은 5315원으로 지난 14일 가격(4365원)과 비교해 열흘 만에 22% 높아졌으며, 지난 1일 974원(100g)이던 시금치 소매가격은 23일 2220원으로 3주 만에 2배 넘게 뛰어오르면서 128% 상승률을 기록했다. 2025.7.27. 뉴스1
기록적인 무더위와 폭우로 농산물 수급 불안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여름 배추 생육이 부진하면서 한 포기 가격이 평년과 비교해 6% 넘게 올랐고 복숭아, 참외 등 여름철 농산물 가격은 1년 전보다 약 20% 상승했다.
27일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에 따르면 25일 기준 배추 한 포기 가격은 5436원으로 평년 대비 6.53% 상승했다. 한 달 전(3621원)과 비교하면 50% 넘게 올랐고 1년 전(5408원)보다도 소폭 상승했다.
배추는 서늘한 기후에서 잘 자라는 호냉성 작물이다. 특히 여름 배추는 해발 400m 이상 고랭지에서 재배되는 데다 폭염, 장마 등 기상 여건에 따른 생산량 변동 위험도 크다. 집중호우 이후 폭염이 지속되면 배추가 무르고 흐물흐물해지는 무름병이 확산하면서 지난해에 이어 ‘금배추’ 현상이 반복될 가능성도 있다.
이달 14일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은 7월에 출하되는 여름 배추의 생육이 평년 대비 지연되고 있다는 분석을 내놨다. 최근 고온 및 가뭄에 병해까지 겹친 탓이다.
여름에 소비가 많은 농산물도 높은 가격 수준을 보이고 있다. 제철 과일인 복숭아는 10개에 2만629원으로 1년 전(1만7297원)보다 19.26% 상승했다. 수박(1개 2만8809원)과 참외(10개 1만8806원)도 1년 전과 비교해 각각 15.97%, 19.71% 올랐다. 유통업계에서는 산불에 여름철 폭염과 폭우까지 겹치며 추석 선물용 사과와 배 수급에 차질을 빚을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오고 있다.
정부는 가용물량 공급과 할인 행사 등을 통해 수급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겠다는 방침이다. 정부 가용물량인 배추 3만6000t을 탄력적으로 매일 100~250t 도매시장에 공급하고 사과 1만2000t, 배 4000t도 활용한다. 다음 달 6일까지 수박, 복숭아 등 주요 품목에 대해서는 1인당 매주 2만 원으로 한도를 올려 최대 40% 할인 지원한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