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불확실성 속 한일 협력 중요… 어려울때 돕는 관계 돼야”

  • 동아일보

코멘트

김윤 한일경제협회 회장 인터뷰
‘소부장’ 등 韓日경제 상호 보완관계… 서로 협력때 글로벌 경제에도 도움
李대통령, 합리적 한일관계 이끌것… DJ-MB때처럼 ‘정상 셔틀외교’ 기대
역사갈등 예민한 부분 있을수밖에… 초고령화-AI 등 함께 대응할 필요

김윤 한일경제협회 회장이 24일 경기 성남시 판교에 있는 삼양디스커버리센터에서 동아일보와 인터뷰를 하고 있다. 김 회장은 “한일 경제는 상호 보완적 관계이며 글로벌 경제가 어려울수록 서로 도와 공존해야 된다”고 말했다. 
성남=신원건 기자 laputa@donga.com
김윤 한일경제협회 회장이 24일 경기 성남시 판교에 있는 삼양디스커버리센터에서 동아일보와 인터뷰를 하고 있다. 김 회장은 “한일 경제는 상호 보완적 관계이며 글로벌 경제가 어려울수록 서로 도와 공존해야 된다”고 말했다. 성남=신원건 기자 laputa@donga.com
“글로벌 경제의 불확실성이 가중되는 엄중한 비즈니스 환경 속에서 일본과는 어려울 때 돕는 진정한 친구로서 공존의 길을 만들어 가야 한다.”

김윤 한일경제협회 회장(72)은 한일 수교 60주년을 맞아 진행한 동아일보와의 인터뷰에서“한국과 일본은 서로가 서로를 필요로 하는 상호 보완 관계”라면서 “한일 간의 경제 협력은 누가 이기고 지는 관계가 결코 아니다. 서로 깊이 이해하고 선의로 경쟁하면서 최대로 협력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 회장은 2014년 한일경제협회 회장에 올라 11년째 협회를 이끌고 있다. 국내 대표적인 지일파 경영인으로, 오랜 기간 한일 양국 재계의 가교 역할을 해왔다. 김 회장은 지난해 100주년을 맞은 삼양그룹의 회장을 맡고 있다. 그룹 내 삼남석유화학이 일본 기업과의 합작회사로 운영될 만큼 한일 간 경제 협력을 몸소 실천해 오고 있다. 한일경제협회는 1981년 설립됐고, 박태준 당시 포항제철 회장이 초대 회장을 맡았다. 매년 양국의 경제인들이 서로 오가면서 교류 협력을 진행하는 전통을 갖고 있다. 다음은 김 회장과의 일문일답.

―한일 양국의 경제 협력을 어떻게 평가하나.

“한일 관계는 설령 정치적으로 나빠지더라도 경제는 나빠지기가 어렵다. 워낙 서로 보완 관계가 있기 때문이다. 두 나라는 밸류체인에서 단단히 묶여 있다. 한일 간에 잘 융합하면 공급망 위기가 왔을 때 충분히 협력해 나갈 수 있다. 한국과 일본이 튼튼한 관계를 맺어가는 게 글로벌 경제에도 상당한 도움이 된다.”

―관세 등 글로벌 경제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양국이 힘을 합쳐 경제 공동체를 이뤄 대응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다.

“교역 규모나 인구, 구매력 면에서 큰 시너지가 기대된다는 주장이 있다. 다만 이를 위해선 한국의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CPTPP) 가입이나 한일 자유무역협정(FTA)이 먼저 선행돼야 한다. 관세 문제의 경우 한일이 공동 대응해야 한다. 최근 기업들이 꼽은 가장 필요한 한일 경제 협력이 ‘보호무역 등 글로벌 통상 이슈 공동 대응’이었다. 한일 양국은 자유롭고 공정한 국제경제 질서를 유지하기 위해 협력해야 한다.”

―이재명 정부의 한일 관계는 어떻게 전망하나.

“일본 재계에서 한국의 정권 교체 이후 걱정을 많이 했다. 그런데 이 대통령이 당선 이후에 ‘한일 관계가 중요하다’, ‘잘해 나가겠다’는 발언을 해서 안심이 돼 있는 상태다. 새 정부에서도 일본은 굉장히 중요하게 생각할 것 같다. 야권 정치인 시절과 정권을 잡은 후의 대통령의 입장은 다른 것이다. 이 대통령이 합리적인 사고 방식을 갖고 있다고 들었기 때문에 현명하게 한일 관계를 이끌어 나갈 것으로 기대한다.”

―한일 경제 협력과 관련해서 정부에 바라는 점은 어떤 게 있나.

“김대중, 이명박 정부 때처럼 양국 정상이 만나서 셔틀 외교를 했으면 좋겠다. 정치가 안정되면 모든 게 다 잘 풀린다. 우리 입장에선 미국과 일본이 가장 중요하다는 걸 대통령도 잘 인지할 것이다. 사람은 자꾸 만나야 믿음이 쌓인다. 정상 간에도 마찬가지다. 가까운 나라인 만큼 의지만 있으면 할 수 있다.”

―초고령사회나 인공지능(AI) 시대를 맞아 양국 경제계가 협력할 사안이 많지 않나.

“저출산, 고령화, 인구 감소, 지방 소멸에의 대처는 한일 공통의 과제다. 대처 경험과 해결 방안에 대해 소통하고 있다. AI나 디지털 분야 협력도 앞으로 중점적으로 추진해야 한다.”

―한일 양국의 정치적 문제나 역사 갈등은 어떻게 해결해야 하나.

“나는 희망적으로 본다. 요즘 젊은 세대의 일본에 대한 호감도가 높다. 한일 모두 젊은 세대는 기존 역사에 크게 괘념치 않는다. 다만 한일 간의 역사 문제는 시한폭탄같이 예민한 면이 있기 때문에 관리를 잘해 나가야 한다. 야스쿠니 신사나 독도 문제 같은 봉합이 안 되는 부분은 존재할 수밖에 없다. 그런 부분은 일단 묻어두고서라도 실용적으로 경제 협력을 우선시해야 한다. ”

―과거 일본의 배상금이 한국 산업화의 밑거름이 됐는데 이제는 한국의 1인당 국민총소득(GNI)이 일본을 추월했다.

“한국의 경제적 위상이 높아진 것은 사실이다. 양국 관계가 수평분업화됐다는 평가도 있다. 하지만 핵심 소재, 부품, 장비에서의 일본에 대한 의존은 극복의 대상이다. 일본이 여전히 인구도 많고 경제 규모가 크다. 일본의 산업 기술도 여전히 대단하다. 일본을 능가하려면 일본을 계속 배워야 한다.”

#글로벌 불확실성#한일 협력#글로벌 경제#관세#이재명 정부
©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