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출규제 여파 수도권 ‘거래절벽’…초고가 아파트는 ‘신고가’ 행진

  • 뉴스1

코멘트

20억 초과 거래 86% 급감, 신고가 비율은 66%…양극화 심화

서울 남산에서 바라본 서울 시내 아파트 모습./뉴스1 ⓒ News1
서울 남산에서 바라본 서울 시내 아파트 모습./뉴스1 ⓒ News1
6·27 부동산 대책 여파로 수도권 아파트 거래량은 줄었지만, 신고가 거래는 이어지며 시장 양극화가 심화하고 있다. 이는 규제의 영향을 받지 않는 자산가들이 고가 아파트로 몰리면서 나타난 현상으로 분석된다.

29일 부동산 중개업체 집토스가 지난 한 달간 아파트 매매 실거래가를 분석한 결과, 수도권의 거래량 감소율(72.5%)은 비수도권(39.9%)보다 약 1.8배 가파르다.

거래량이 급감했음에도 불구하고, 신고가 비율은 오히려 증가했다. 수도권에서 20억 원 초과 아파트의 거래량은 대책 이전 한 달 대비 85.8% 급감했지만, 신고가 비율은 66.1%로 모든 가격대 중 가장 높았다.

대형 평수(85㎡ 초과) 역시 거래량은 79.2%나 감소했지만, 신고가 비율은 12.1%로 전 평형 중 1위를 기록했다.

‘대책 이전 최고가 대비 상승률’(한 번 오를 때 기존 최고가보다 얼마나 더 비싸게 팔렸는지를 나타냄)은 수도권이 5.6%로, 비수도권(4.1%)보다 높았다. 서울 서초구는 신고가를 기록한 아파트들이 기존 최고가보다 평균 8.6% 더 높은 가격에 거래됐다. 이어 양천구(8.3%), 성동구(8.3%), 강남구(8.1%) 등이 뒤를 이었다.

규제 이후 대출 의존도가 낮은 자산가들이 안전하고 희소성이 높은 고가 아파트 시장으로 몰리면서 양극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이재윤 집토스 대표는 “6·27 대책은 수도권 아파트 시장을 침체와 과열이 공존하는 양극화 시장으로 만들었다”며 “규제로 일반 아파트의 거래는 줄어들었지만, 규제로부터 자유로운 초고가, 신축, 재건축 단지에 자금이 몰리면서 ‘똘똘한 한 채’ 쏠림 현상은 당분간 더 심화할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서울=뉴스1)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오늘의 추천영상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