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F, 韓성장률 전망 1.0%→0.8% 낮춰…“하반기부터 회복”

  • 동아일보
  • 입력 2025년 7월 29일 22시 19분


코멘트
29일 경기 평택시 포승읍 평택항에 수출용 컨테이너들이 세워져 있다. 2025.7.29/뉴스1
국제통화기금(IMF)이 3개월 만에 올해 한국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0%대로 하향 조정했다. 주요 30개국 가운데 성장률 전망치가 낮아진 국가는 한국을 포함해 전쟁 중인 러시아 등 3개국뿐이었다. 미국발(發) 관세 충격에 정치적 불확실성으로 내수 부진이 더해진 탓이다. IMF는 통상 불확실성의 전개 양상이 향후 세계 경제 전반의 흐름을 좌우할 것이라는 진단을 내놨다.
29일(현지 시간) IMF는 7월 세계경제전망을 통해 올해 한국의 경제성장률을 0.8%로 내다봤다. IMF는 올 4월 한국의 성장률 전망치를 2.0%에서 1.0%로 1.0%포인트 낮춰 잡았는데, 0.2%포인트를 추가로 낮춘 것이다. 주요 30개국 중 이번 전망에서 성장률이 하향 조정된 국가는 한국, 네덜란드(1.4→1.2%), 러시아(1.5→0.9%)뿐이다. 러시아는 전쟁 중이고, 네덜란드는 의약품을 비롯해 유럽연합(EU)에서도 미국 수출 의존도가 높은 국가로 꼽힌다.
앞서 23일 아시아개발은행(ADB)은 올해 한국 경제성장률을 1.5%에서 0.8%로 0.7%포인트 하향 조정한 바 있다. 한국은행과 한국개발연구원(KDI) 역시 올해 한국 경제가 0.8% 성장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라훌 아난드 IMF 한국 미션단장은 한국의 성장률 조정에 대해 “국내 정치 및 글로벌 통상 불확실성 등으로 예상보다 부진했던 상반기(1~6월) 실적이 원인”이라고 설명했다.
특히 정치적 혼란으로 내수 부진이 길어진 점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양준석 가톨릭대 경제학과 교수는 “미국 관세 부과는 모든 국가에 해당되는 사안”이라며 “한국의 내수 위축을 직전 전망보다 심각하게 평가한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IMF는 올 하반기(7~12월)부터 점진적으로 경기가 회복될 것이라며 내년 한국 경제 성장률을 1.8%로 내다봤다. 4월(1.4%)과 비교해 0.4%포인트 상향했다. 아난드 단장은 “두 차례 추가경정예산을 포함한 완화적 정책기조, 국내 정치 불확실성 해소에 따라 2분기(4~6월) 중반 이후 개선된 소비 및 투자 심리 등이 바탕이 됐다”고 덧붙였다.
IMF는 올해 세계 경제성장률 전망치는 3.0%로 3개월 전보다 0.2% 높였다. 다음 달 1일 관세 인상 유예가 종료되더라도 실제로 관세가 인상되지 않고 현재 수준이 유지된다는 가정을 전제로 한 수치다.
올 5월 미국과 중국이 90일간 관세 인하에 합의하는 등 ‘관세 전쟁’이 유예된 점도 작용했다. △고(高)관세 우려에 따른 조기 선적 증가 △달러 약세 등 금융여건 완화 △주요국 재정 확대 등도 영향을 미쳤다. IMF는 올해 미국이 1.9%, 중국이 4.8%의 성장률을 보일 것으로 예측했다. 직전 전망치에 비해 각각 0.1%포인트, 0.8%포인트 상향 조정했다.
다만 피에르올리비에 구랭샤스 IMF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다음 달 1일 관세 유예 조치가 종료되거나 협상이 결렬돼 다시 관세가 높은 수준으로 설정될 경우 2026년 세계 생산은 0.3% 낮아질 수 있다”고 진단했다.

©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