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전력이 재생에너지의 공급을 확대하고 지역 단위에서 생산해 그곳에서 소비하는 ‘분산형 에너지 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5년간 총 10조 원을 투입한다.
29일 한전이 공개한 ‘제1차 장기 배전계획’(2024∼2028년)에 따르면 한전은 분산에너지 적기 연계를 위해 에너지 판매용 배전망 사전 증설에 5년간 약 2조 원, 전기 사용자용 배전망에 약 8조2000억 원 등 총 10조2000억 원을 투자할 계획이다. 한전이 지방자치단체 173곳과 함께 조사한 결과 배전망 연계 분산에너지(사용처 인근에서 생산한 에너지)는 지난해 말 25.5GW(기가와트)에서 2028년 말 36.6GW로 약 44% 증가할 것으로 전망됐다. 이에 따라 인프라 구축을 위해 대규모 자금을 투입하겠다는 의미다. 풍력, 조력, 태양광 에너지가 풍부한 호남권뿐 아니라 전국적으로 재생에너지 보급이 확산할 것에 대비한 투자다.
한전은 민간 협력 분산형 에너지 체계 구축을 위한 방안도 마련했다. 한전은 연말부터 민간 에너지저장장치(ESS) 등을 활용한 지역 유연성 서비스를 제주 지역에서 시범 운영한 뒤 2027년부터 본격 시행할 예정이다. 지역의 에너지 사용 현황에 맞춰 에너지를 공급해 주는 ESS 등의 설치를 유연하게 늘릴 수 있게 하겠다는 것이다.
이번 계획은 지난해 6월 시행된 분산에너지 활성화 특별법에 따라 처음 수립했다. 이달 25일 한전이 산업통상자원부 314차 전기위원회에 보고한 뒤 확정했다. 또한 하반기(7∼12월) 중에는 분산 전력망 기술 로드맵(2025∼2035년)을 발표하고, 한전과 민간이 함께하는 ‘배전망 운영자 협의체’도 구성할 계획이다.
한재희 기자 hee@donga.com
©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