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일 현대차그룹에 따르면 현대차와 기아는 올해 7월까지 총 3010만7257대의 차를 미국 시장에서 판 것으로 집계됐다. 브랜드별로는 현대차가 1755만2003대, 기아가 1255만5254대를 각각 팔았다. 이는 현대차가 미국에 처음 진출한 1986년 이후 39년 6개월 만에 이룬 성과다.
경기 평택시 포승읍 평택항에 수출용 차량들이 세워져 있는 모습. 뉴스1이로써 현대차그룹은 미국 시장에서 현지 브랜드가 아닌 회사로는 도요타, 혼다에 이어 세 번째로 3000만 대를 판매한 완성차업체가 됐다. 다만 ‘3000만 대’ 판매 달성 속도는 이들 경쟁자들보다도 빨랐다. 1958년 미국 시장에 뛰어든 도요타는 54년 만인 2012년 3000만 대 판매고를 올렸다. 혼다 역시 1970년 진출해 47년 만인 2017년에야 3000만 대를 넘어섰다.
현대차가 처음 미국에 수출한 모델은 ‘엑셀’이다. 1986년 1월 울산공장에서 생산한 차를 수출했다. 기아는 1992년 미국에 판매 법인을 설립한 뒤 2년 뒤인 1994년 2월부터 독자 모델인 세피아와 스포티지를 판매하기 시작하며 미국 시장 경쟁을 시작했다.
이후 현대차그룹은 1990년 100만대, 2004년 500만 대, 2011년 1000만 대의 판매고를 올렸고, 이후에는 매년 100만 대 이상의 차를 미국 시장에 팔며 2018년 2000만 대 판매를 넘어섰다. 지난해에는 역대 최고 판매량인 연 170만8293대를 팔기도 했다.
다만 미국과의 관세 협상으로 인해 현대차그룹의 전망이 밝지 못한 상황이다. 한미 자유무역협정(FTA)에 따라 무관세를 누려왔는데 이제 15% 관세가 부과되게 됐기 때문이다.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이 26일(현지시간) 미국 조지아주 엘라벨에 위치한 ‘현대자동차그룹 메타플랜트 아메리카(Hyundai Motor Group Metaplant America, HMGMA)’ 준공식에 참석해 환영사를 하고 있다. 현대차그룹 제공이에 따라 현대차는 현지 생산 비중을 늘려 관세 전쟁에 대응한다는 전략을 세우고 있다. 2005년에는 앨라배마주에, 2010년엔 조지아주에 생산공장을 각각 설립했고 지난해 조지아주에 ‘메타플랜트 아메리카’를 준공한 만큼 현지 생산 비중을 크게 늘릴 계획이다.
하이브리드 차량과 전기차 등 친환경 차량 판매에도 집중하는 한편 고부가가치 브랜드인 제네시스 브랜드의 판매량도 늘린다는 전략이다. 현대차는 최근 진행한 2분기(4~6월) 실적 발표 컨퍼런스콜에서 “친환경 차량과 제네시스 차량의 글로벌 판매 비중이 처음으로 20%를 넘어섰다”고 발표하기도 했다.
기아 측도 “향후 하이브리드차 판매를 강화해 상반기 미국 시장에서 5.1%였던 점유율을 6%까지 늘릴 계획”이라고 밝혔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