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품 샤넬, 美서 고객정보 유출 …“韓고객 정보는 피해 없어”

  • 뉴시스(신문)

코멘트

외신 “세일즈포스 통한 해킹 가능성”…아디다스·루이비통 등 국내외 유사 피해 잇따라

2일 명품 업계에 따르면 샤넬코리아는 이날부터 주얼리와 가방 일부 제품 가격을 기습 인상했다.    22백은 중간 사이즈는 867만원에서 938만원으로, 작은 사이즈는 822만원에서 889만원으로 8.2% 인상된다. 샤넬 뉴미니 클래식 백의 경우, 748만원에서 800만원으로 7% 정도 인상됐다. 클래식 카드지갑의 경우 90만원에서 97만원으로 인상돼 7.7% 정도 가격이 올랐다. 사진은  2일 서울 시내 한 샤넬 매장. 2025.06.02. [서울=뉴시스]
2일 명품 업계에 따르면 샤넬코리아는 이날부터 주얼리와 가방 일부 제품 가격을 기습 인상했다. 22백은 중간 사이즈는 867만원에서 938만원으로, 작은 사이즈는 822만원에서 889만원으로 8.2% 인상된다. 샤넬 뉴미니 클래식 백의 경우, 748만원에서 800만원으로 7% 정도 인상됐다. 클래식 카드지갑의 경우 90만원에서 97만원으로 인상돼 7.7% 정도 가격이 올랐다. 사진은 2일 서울 시내 한 샤넬 매장. 2025.06.02. [서울=뉴시스]
프랑스 명품 브랜드 샤넬이 해킹 공격을 받아 미국 고객의 개인정보가 유출된 사실이 드러났다. 단, 샤넬 측은 “한국 고객 정보는 포함되지 않았다”는 입장을 밝혔다.

5일 외신 등에 따르면 지난 7월 25일 제3의 서비스 제공업체에 호스팅된 샤넬 고객 데이터베이스에 외부 공격자가 무단 접근했다.

이번에 유출된 정보는 미국 내 고객센터를 통해 문의한 일부 고객의 이름·이메일 주소·우편 주소·전화번호 등이며 금융 정보는 포함되지 않았다.

샤넬은 무단 접근이 이뤄진 제3의 서비스 제공업체가 정확히 어디인지에 대해서는 공개하지 않았다.

이번 유출 사고와 관련해 미국의 한 사이버 보안 전문 매체는 샤넬이 아디다스·루이비통·디올·티파니처럼 고객관리에 활용하는 클라우드 기반 고객관리시스템(CRM)인 ‘세일즈포스(Salesforce)’에서 발생한 것으로 추정했다.

이들 기업은 모두 세일즈포스 기반 고객관리 서비스를 통해 국내 고객의 개인정보 역시 국외로 이전하고 있어 보안 우려가 국내로까지 확산될 가능성이 크다는 우려도 나온다.

개인정보위원회 관계자는 지난 5월 디올과 티파니의 개인정보 유출 여부를 조사하는 과정에서 이들이 사용하는 서비스형 소프트웨어(SaaS) 기반 고객관리 시스템인 세일즈포스도 함께 들여다보고 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해외 뿐 아니라 국내에서도 개인정보 유출 사례가 있었던 아디다스·루이비통·디올·티파니 등의 사례처럼 샤넬 역시 한국 고객 정보가 포함됐을 가능성에 대한 우려가 제기된다.

다만 샤넬코리아는 이번 사고와 관련해 “국내 고객 정보는 포함되지 않았다”고 밝혔다.

[서울=뉴시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오늘의 추천영상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