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정부 출범 이후 가상자산 시장 활성화가 활발히 논의되고 있는 가운데 네이버, 카카오에 이어 토스(비바리퍼블리카)도 원화 스테이블코인 사업 검토에 들어갔다. 국내 핀테크 산업을 대표하는 ‘네카토’(네이버·카카오·토스)가 모두 원화 스테이블코인 사업에 발을 들이며 빅테크 및 금융권의 스테이블코인 사업이 속도를 낼지 주목된다.
7일 금융권에 따르면 모바일 금융 플랫폼 ‘토스’ 운영사인 비바리퍼블리카는 최근 ‘스테이블코인 태스크포스(TF)’를 꾸린 뒤 사업 타당성을 검토하고 있다. 최근에는 가상자산 거래소 빗썸과 스테이블코인 결제 시스템을 마련하는 방안을 논의하기도 했다. 비바리퍼블리카 관계자는 “TF에 현재 금융 계열사 3곳이 참여하고 있으며, 향후 진행 과정에서 참여 주체가 달라질 수도 있을 것”이라고 했다.
최근 카카오도 그룹 차원에서 스테이블코인 TF를 출범시킨 바 있다. 앞서 카카오페이는 특허청에 원화 스테이블코인 상표권을 6개, 카카오뱅크는 4개 출원하기도 했다. 네이버페이도 원화 스테이블코인에 우호적인 기조를 보이고 있다. 박상진 네이버페이 대표이사는 올 6월 기자간담회에서 “(스테이블코인) 관련 정책이 마련된다면 선도적인 역할을 할 준비가 돼 있다”는 포부를 밝힌 바 있다.
스테이블코인이란 ‘stable’(안정된)과 ‘coin’(코인)의 합성어로 안정성을 추구하는 가상자산을 통칭한다. 달러, 유로, 엔화 등 법정 화폐에 코인의 가치를 일대일로 연동(페깅)하는 방식이 주로 쓰인다. 법정 화폐와의 연동으로 기존 가상자산들이 지닌 변동성을 최소화하는 점이 특징이다. 예컨대 세계 스테이블코인 10개 중 8개 이상을 차지하는 달러 기반 스테이블코인은 가상자산 1개가 1달러의 가치를 갖도록 설계된다. 이 코인을 발행하는 주체는 미 달러나 국채 실물을 준비금으로 확보해둬야 한다.
이재명 대통령은 대선 후보 때 스테이블코인 도입을 공약으로 내건 바 있다. 하지만 아직 국내에는 스테이블코인이 도입되지 않아 발행 주체, 유통 방식 등이 정해지지 않았다. 그럼에도 기업들이 발빠르게 움직이는 이유는 그 성장 가능성이 무궁무진하다는 판단 때문으로 보인다. 스테이블코인은 직접 송금할 수 있고 국가간 결제가 수월한 편이다. 특히 빅테크들은 간편결제 플랫폼을 갖고 있어 스테이블코인의 발행, 유통, 결제, 보관 등이 수월할 수 있다.
전문가들은 원화 스테이블코인 도입이 가시화되고 있는 만큼 미리 스테이블코인의 법적 책임, 이용자 보호 장치 등을 충분히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한다. 더불어민주당 의원들은 이른바 ‘원화 스테이블코인법’(디지털자산기본법)을 여러 차례 발의한 바 있다. 금융위원회 산하 금융정보분석원(FIU)은 6일 스테이블코인 관련 자금세탁방지 제도를 연구하기 위해 용역을 발주했다. 이정두 금융연구원 센터장은 “국내외에서 발행된 모든 스테이블코인에 대한 이용자 보호 체계가 시급히 마련돼야 한다”며 “특히 (스테이블코인을 통한) 해외 지급, 송금 등의 거래는 외국환규제 대상에 포함되지 않아 관리가 필요하다”고 진단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