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M SURUS 자율주행 트럭 콘셉트공동개발 차량 양산이 본격화되면 연간 80만 대 이상 생산·판매가 이뤄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공동개발 과정에서 GM은 중형 트럭 플랫폼 개발을 주도하고 현대차는 소형차와 전기 상용 밴 플랫폼 개발을 이끈다. 플랫폼 개발 완료 후에는 각자 브랜드 정체성에 맞는 내·외장을 적용할 계획이다. 플랫폼을 공유하는 현대차와 기아처럼 현대차와 플랫폼을 공유하는 미국 브랜드 차가 만들어지는 셈이다. 공동개발 신차 하이브리드 기술은 어느 브랜드가 개발을 주도하는지 공개하지 않았다.
현대차는 GM과 개발한 플랫폼을 현대차 신차에만 적용할 예정이다. 기아에 적용할 계획은 현재로선 없다고 전했다. GM의 경우 쉐보레, 캐딜락, GMC, 뷰익, 콜벳 등 다수 브랜드를 보유하고 있다. 공동개발 신규 플랫폼 적용 브랜드는 추후 결정될 예정이다.
오는 2028년 중남미 시장용 신차 출시를 위해 디자인 및 엔지니어링 관련 협업을 진행하고 있고 전기 밴 역시 2028년 미국 현지 생산에 들어갈 것으로 예상한다고 현대차는 설명했다.
현대차 E-GMP 전기차 전용 플랫폼호세 뮤뇨스(Jose Muñoz) 현대차 대표이사 사장은 “GM과 전략적 협력을 통해 다양한 세그먼트 영역과 시장에서 고객들에게 지속적으로 더 나은 가치와 선택권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며 “북미 및 남미 시장에서 양사 협력을 바탕으로 고객들이 원하는 아름다운 디자인과 고품질, 만족할 만한 기술과 안전 등을 보다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실판 아민(Shilpan Amin) GM 글로벌 구매·공급망부문 수석 부사장은 “오늘 발표된 모델들은 중남미 시장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세그먼트와 북미 시장 상용차부문을 타깃으로 한다”며 “현대차와 협업을 통해 고객들에게 다양한 선택지를 보다 빠르고 낮은 비용에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전했다.
현대차와 GM은 북미와 남미 시장에서 자동차 소재와 부품, 운송, 물류 등에 관한 공동 소싱도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원자재부터 부품, 복합적인 시스템 등 다양한 영역에서 새로운 협력이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이와 함께 지속가능한 제조 방식을 구현하기 위한 노력 일환으로 탄소저감 강판 분야 협력 가능성도 모색하기로 했다.
한편 현대차와 GM은 작년 9월 체결한 업무협약(MOU)을 기반으로 글로벌 신차 추가 공동개발 프로그램을 비롯해 내연기관, 하이브리드, 배터리 전기차, 수소차 기술 등을 포함한 파워트레인 전반에 걸친 협업 관련 검토를 지속해 나갈 예정이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