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기술인재 유출 방지 민관합동 TF 첫 회의 개최
국내 인재 유출 방지-해외 우수 인재 유치 동시 추진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10일 세종특별자치시 정부세종청사에서 현판식을 개최했다. (사진=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공)
정부가 민간기업과 함께 과학기술인재의 해외 유출을 막고 해외 우수 인재를 우리나라에 유치하기 위한 대책 마련에 나선다. 오는 9월까지 인재 유입, 성장, 취업, 정착 등 전반적인 지원 방안을 구체화한다는 계획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12일 서울 과학기술자문회의에서 과학기술인재 유출 방지 및 유치 대책을 마련하기 위한 민관합동 TF를 출범하고, 첫 회의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민관합동 TF는 글로벌 인재 확보 경쟁에 대응하기 위한 범정부 차원의 민간 협업 체계다. 젊은 과학기술 인재들이 국내에서 성장·발전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고, 국가전략 및 현장 수요에 기반한 해외 우수 인재를 국내로 유치하는 방안을 포괄적으로 논의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TF 위원장은 구혁채 과기정통부 제1차관과 경계현 삼성전자 고문이 공동 수행한다. 위원들은 9개 부처 실장급 인사와 과학기술자문회의 및 산하 미래인재특별위원회 위원을 비롯해 다양한 경력의 민간 전문가들로 구성해 현장의 수요와 실제 인재 흐름을 정밀하게 분석할 수 있도록 했다.
과기정통부는 민관합동 TF 출범에 앞서 7월 초부터 관계 부처 국장급 실무 TF도 운영 중이다. 그동안 관계 부처와 함께 출연연, 기업, 대학, 외국인 정주 여건 등 5차례에 걸쳐 이슈별 현장 의견을 청취하고 정책 아젠다를 발굴하는 등 부처 협의를 추진해왔다.
이날 회의에서는 이공계 진로 기피, 국내 양성 인재의 해외 이탈, 이공계 재직자들의 사기 저하 등 과학기술 인재 생태계 전반에 걸친 문제의 근본 원인을 재진단하고 범정부 대책의 구성 방향, 실무 TF를 통해 발굴된 후보 과제 등을 중점적으로 검토했다.
과기정통부는 앞으로 민관합동 TF를 통해 수요자 관점에서 인재 유입-성장-취업-정착 등 전 주기에 걸친 추진 과제를 발굴하고, 각 부처의 제도·재정적 지원을 연계하는 실행 방안을 9월까지 구체화한다는 계획이다.
민간합동 TF의 공동위원장인 구혁채 차관은 “지금 이 순간에도 해외의 대학, 기업, 연구소로부터 제안을 받아 이직을 고민하는 분들이 있을 것”이라며 “오늘 회의가 이공계를 진로로 선택한 국내외 인재들에게 대한민국에도 미래가 있다는 확신을 줄 수 있는 출발점이 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각 부처가 원팀으로 정부가 지원할 수 있는 모든 카드를 총 동원해야 한다”며 부처의 적극적인 협력을 요청하고 “과기정통부도 관계 부처 및 민간위원님들과 긴밀히 논의하며 완성도 높은 대책이 마련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과기정통부는 민관합동 TF를 통해 마련할 대책이 새 정부의 제1호 인재 정책인 만큼 현장에서 제대로 작동될 수 있도록 후속 추진 체계 마련과 함께 정책 홍보를 위한 현장 소통도 병행해 나갈 방침이라고 설명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