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체류하는 해외 인재가 100만 명 늘어나면 국내총생산(GDP) 6%에 해당하는 경제 효과가 발생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대한상공회의소는 13일 김덕파 고려대 교수팀과 공동으로 연구한 ‘해외시민 유치의 경제효과 분석’ 보고서를 내고 이 같이 밝혔다. 해외인재 100만 명을 한국에 유치하면 전국 지역경제에 최소 145조 원의 부가가치가 늘고, 이는 국가 전체 GDP의 6.0% 규모에 해당한다는 분석이다.
보고서는 2012~2023년 전국 17개 시도에서 각 지역별로 외국인이 유입됐을 때 경제성장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분석해 이 같은 수치를 냈다. 분석 결과 외국인 비율이 경제활동인구의 1%만큼 늘면 1인당 지역내총생산(GRDP)이 약 0.11% 증가했다. 보고서는 현재 135만 명인 국내 외국인이 500만 명으로 늘면 총 361조 원의 경제적 효과가 발생할 것이라고 추산했다.
해외인재가 필요한 이유로는 △국내교육을 통한 AI 인재 육성 한계 △출생률 저하 △우수인재 적자국 △내수 부양 등을 들었다. 김 교수는 “단순한 인구 확대가 아니라 전문적인 지식·기술 또는 기능을 지닌 해외 고급인력 유입으로 파급효과를 극대화하는 것이 해외 인력유입의 키“라고 주장했다.
대한상의는 해외인재 유치 전략으로 3가지를 제시했다. 외국인 정주형 특화도시와 글로벌 팹 유치, 해외인재 국내맞춤 육성이다. 외국인 정주형 특화도시는 외국인이 사회·경제적으로 융합할 수 있는 독립적 정주 생태계를 마련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글로벌 기업을 유치하고 비자 혜택, 세제 감면, 교육·의료 인프라 구축 등을 통해 한 장기 체류할 수 있는 조건을 제공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전략산업 생산기지인 팹 유치를 위해서는 기업 투자계획과 인재유치 전략을 연계한 통합 플랫폼을 구축하자고 제시했다. 기업은 필요 전문 인재를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고 지역은 첨단산업 기반을 갖춘 성장 거점으로 도약할 수 있다는 내용이다. 아울러 해외인재 국내맞춤 육성을 위해 베트남, 인도네시아 등 동남아 우수대학 재학생 중심의 인재 양성과 취업, 정주로 이어지는 연계 프로그램을 설계해야 한다고 제시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