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세 52% 월세 48%…서울 아파트 7월 신규계약 ‘월세화’ 가속

  • 동아일보
  • 입력 2025년 8월 18일 11시 37분


코멘트
서서울 남산에서 바라본 아파트 단지 모습. 2025.8.14. 뉴스1
서울 아파트 신규 전월세 계약 중 전세와 월세 비중의 격차가 지난해 7월 18%포인트에서 지난달 4%포인트로 축소됐다.

18일 부동산 플랫폼 기업 직방이 국토교통부 매매 실거래가 자료를 분석한 결과, 지난달 서울 아파트 신규 전월세 계약 중 전세 비중이 52%, 월세 비중이 48%인 것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7월 전세와 월세 비중은 각각 59%, 41%로 1년 사이 전세는 7% 포인트 감소하고 월세는 7%포인트 증가했다.

전세와 월세 비중의 격차도 지난해에는 18%포인트였지만 올해는 4%포인트에 그쳤다.

자치구별로 보면 월세 비중이 전세보다 높은 지역은 9곳이었다. 월세 비중이 가장 높은 지역은 동대문구(62%)였다. 이어 강북구(60%), 종로구(59%), 용산구(57%), 금천구(55%), 중랑구(54%), 강남구(53%), 중구(53%), 성동구(52%) 순으로 월세 비중이 과반을 차지했다.

동대문구와 중랑구는 최근 휘경자이디센시아, 리버센SK뷰롯데캐슬 등 신축 아파트가 공급됐는데 6·27 대출 규제로 초기 자금 마련이 어려워지자 월세 계약을 택한 모습이다.

종로구, 용산구, 강남구 등 서울 중심권 지역은 직주근접 수요가 몰리면서 고가 아파트가 집중돼 있다. 전셋값도 부담스러운 만큼 월세 계약 비중이 높게 나타난 것으로 풀이된다.

김은선 직방 빅데이터랩장은 “서울 아파트 전월세 시장은 전세 중심 구조에서 월세 중심 구조로 서서히 이동하고 있다”며 “금리 수준과 전세대출 규제 강화, 보증 한도 축소 등 자금 조달 여건의 변화와 맞물려 나타난 현상”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6·27 대출 규제 이후에는 전세금 마련이 더욱 까다로워지며 초기 자금 부담이 적은 월세 계약이 대안으로 부상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서울 아파트#전월세 계약#전세 비중#월세 비중#전세-월세 격차
©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