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조배터리용 비닐봉투 대신 기내 선반에 온도감응형 스티커 붙인다

  • 뉴시스(신문)

코멘트

기내 보조배터리 안전 대책 보완…9월부터 시행
국적 항공사 기내에 격리보관백 2개 비치

ⓒ뉴시스
정부가 지난 1월 에어부산 여객기 화재사고를 계기로 실시한 기내 보조배터리 안전 보완대책을 9월부터 실시한다.

당초 비닐봉투 안에 보조배터리를 보관하는 방식은 쓰레기를 양산한다는 비판에 따라 기내 선반에 온도감응형 스티커를 부착하고 국적항공사의 전 항공기에 물과 폼 등 형식의 격리보관백을 2개 이상 필수로 탑재하기로 했다.

국토교통부(장관 김윤덕)는 지난 1월28일 에어부산 항공기 화재사고 발생을 계기로 3월1일부터 시행 중인 ‘보조배터리 기내안전관리 대책’을 일부 보완해 9월1일부터 시행할 계획이라고 27일 밝혔다.

지난 3월 실시한 대책은 국제기준에 따라 단락(합선) 방지 조치를 적용하기 위해 비닐봉투를 제공했으나, 일각에서 환경오염 등의 우려가 지속적으로 제기됨에 따라, 제도 시행 모니터링 및 전문가, 소비자 단체, 배터리 제조사, 항공사 등과의 지속적인 협의를 거쳐 이번 보완방안을 마련했다.

국토부는 이번 보완방안은 이용자의 안정성과 편의를 고려한 것으로 그간 시행해 온 보조배터리 수량·용량은 100wh 이하(5개·초과 시 승인 필요), 100~160Wh(2개·승인 필요), 160wh 초과 반입 불가, 단락방지 조치 필요, 기내 선반보관 금지, 보조배터리 사용 금지 등의 제한 조치는 유지한다.

우선 단락방지조치는 그간 비닐봉투 제공을 중단하고 항공사 수속카운터, 보안검색대, 탑승구, 기내 등에서 필요한 승객에게 절연테이프를 제공할 예정이다. 다만 승객이 자율적으로 비닐봉투 등 다른방식의 단락방지 조치를 취하는 것도 가능하다.

국적항공사의 모든 항공기에는 기내에 격리보관백(Fire Containment Bag)을 2개 이상 필수로 탑재한다. 기내 보조배터리 및 전자기기에서 화재가 발생할 경우, 초기에 화재를 진합하고 해당기기를 격리 및 보관해 기내화재의 2차 피해를 방지한다는 계획이다.

특히 기내 선반에 보조배터리 보관은 불가하다. 다만 만약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기내 선반 외부에 ‘온도감응형 스티커’를 부착해 선반 내부의 온도를 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내달부터 시행한다.

온도감응형스티커는 선반 내부의 온도가 상승하면 스티커의 색이 변하게 된다. 40도 이상 온도 상승시 빨간색으로 스티커의 색이 변하게 된다. 이에 승무원이나 승객이 선반 내 온도 상승을 조기에 인지할 수 있고, 화재 발생 시 신속한 초기 대응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할 방침이다.

또한 국토부는 승무원 훈련과 승객이 항공기 탑승하는 시점부터 지정 승무원이 선반보관 금지 등의 안내를 강화하고 안내 방송도 2회 이상 실시할 예정이다.

정부는 기내 보조배터리 안전 대책을 오는 9월 열리는 국제민간항공기구(ICAO) 총회 등을 통해 국제기준 강화를 논의할 예정이다.

유경수 국토부 항공안전정책관은 “이번 보완방안은 승객불편을 최소화하고, 기내 화재위험관리와 대응방안을 개선한 것”이라며 “다각적인 의견 수렴을 통해 추가 대책을 보완하고, 국제적으로도 조화를 이룰 수 있도록 ICAO 등 국제기구와도 긴밀히 협의해 나가겠다”라고 밝혔다.

[서울=뉴시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오늘의 추천영상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