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독자 360만 명을 보유한 경제 유튜브 채널 ‘슈카월드’ 운영자 슈카(전석재)가 ‘빵플레이션(빵+인플레이션)’에 대응하겠다는 취지로 시중보다 저렴한 베이커리 팝업스토어 열었다가 논란이 커지자 자영업자들에게 사과했다.
슈카월드는 지난달 31일 라이브 방송을 통해 “싼 빵을 만들면 좋아할 줄 알았는데 그게 아니었다. 죄송하다”면서 “자영업자를 비난한 적은 한 번도 없다. 나도 자영업자다”라고 해명했다. 이어 “빵값의 구조적인 문제에 대해 이야기하려던 것인데 다른 방향으로 해석돼 안타깝다”고 덧붙였다.
슈카월드는 지난달 30일 서울 성수동에서 ‘ETF 베이커리’ 팝업스토어를 열고 소금빵과 플레인 베이글, 바게트 등을 990원에 팔았다. 식빵(1990원)이나 치아바타(3490원), 복숭아 케이크(1만8900원) 등 다른 제품도 시중 판매가 대비 저렴한 가격에 판매했다. 통상 소금빵과 베이글 시중 판매 가격은 3000원 안팎이고, 복숭아케이크는 3만8000원 안팎이다.
31일 서울 성동구 글로우 성수에 연 경제유튜버 슈카의 ETF 베이커리 팝업 스토어에 990원 소금빵이 1차 매진된 모습이다. ‘ETF 베이커리’는 소금빵, 베이글, 바게트, 식빵, 명란바게트, 단팥빵 등을 시중보다 훨씬 저렴하게 판매한다. 베이글, 소금빵, 바게트는 990원, 식빵 1990원, 명란바게트 2450원, 단팥빵 2930원으로 책정됐다. 우선 베이글, 소금빵, 바게트는 원자재 부담이 큰 다른 빵과 달리 버터·치즈 등 유제품과 계란이 거의 들어가지 않아 판매가를 대폭 낮출 수 있던 것으로 알려졌다. 2025.8.31/뉴스1슈카는 앞서 팝업스토어와 관련 “빵값이 미쳐 날뛰고 있다”며 “가격이 낮은 빵을 만들어 본다면 시장을 흔들어볼 수 있지 않을까 생각했다”고 기획 의도를 밝힌 바 있다.
이를 두고 소비자들이 ‘그간 국내 빵 값이 비싼 것이 사실’, ‘기존 가격이 거품이었다. 이제 제자리를 찾은 것’이라며 슈카 베이커리를 기준으로 시중 판매 가격을 지적하는 목소리가 커지자 자영업자 커뮤니티에서는 ‘다른 자영업자들이 빵을 비싸게 파는 것처럼 만들었다’는 비판이 거세졌다. 자영업자들은 원가를 낮추기 위해 유통 경로를 줄이기 쉽지 않은 데다 팝업스토어와 고정 점포 운영을 단순 비교할 수 없다고 지적했다.
슈카월드는 ‘990원 소금빵 때문에 타격을 입었다’는 일각의 의견을 받아들여 두 종류의 빵을 내겠다고 밝혔다. 990원 빵에는 상대적으로 가격이 저렴한 마가린과 버터를 함께 사용하고, 버터만 사용한 소금빵은 1290원에 팔겠다고 했다.
‘유튜버니까 할 수 있는 가격 아니냐’는 질문이 나오자 슈카월드는 “적자를 보고 파는 건 아니다. 박리다매여야 가능한 가격”이라며 “잘 팔리기를 기도한다”고 했다. 이어 “현재 하루에 빵 2000개 판매가 한계”라며 “빵이 잘 팔린다면 늘려보도록 노력하겠다”고 했다. 또 그는 “팝업스토어이지만 지속 가능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면서 “사업이다 보니 당연히 가격이 지금보다 올라갈 수 있다. 다만, 더 내려갈 수도 있다”고 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