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수 부진에 7월 기준 16만1198명
60대 이상은 5배… 평균 대출액 3억
제때 빚을 못 갚는 개인사업자 수가 최근 약 4년 반 사이 3배로 늘었다. 내수 부진으로 인해 금융채무 불이행 자영업자 중 60대가 특히 많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7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국민의힘 박성훈 의원이 나이스평가정보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7월 말 기준 개인사업자 대출 차주 중 금융채무 불이행자는 16만1198명으로 집계됐다. 금융채무 불이행자는 3개월 이상 대출을 갚지 못하고 미루고 있는 차주를 말한다. 2020년 말 5만1045명에서 3배 이상으로 늘었다.
개인사업자 대출 차주 중 금융채무 불이행자 수는 2020년 5만1045명, 2021년 5만487명, 2022년 6만3031명 등으로 소폭 증가해 왔다. 그러다 2023년에는 11만4856명으로 10만 명의 벽을 넘긴 뒤, 2024년 15만5060명으로 크게 뛰었다. 이에 따라 전체 대출에서 금융채무 불이행자의 대출이 차지하는 비율도 2020년 1.1%에서 2024년 2.7%로 늘었다. 해당 수치는 7월 말 기준 3.2%에 이른다.
고령층의 재정 건전성 악화가 두드러졌다. 7월 말 기준 금융채무 불이행자가 많은 연령대는 40대(4만7993명), 50대(4만7419명), 60대 이상(3만5755명), 30대(2만4769명), 20대 이하(5262명)의 순서였다. 이 중에서 60대 이상은 2020년 7191명에 불과했으나 이후 약 5배로 늘어 전 연령대 중 증가율이 가장 높았다. 또 60대 이상 금융채무 불이행자 1인당 평균 대출액은 2억9800만 원으로 전 연령대 가운데 가장 많았다.
한재희 기자 hee@donga.com
©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