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창범 한국경제인협회 상근부회장(오른쪽 첫 번째)이 25일 FKI타워 콘퍼런스센터에서 삼성, SK, 현대차, LG 등 주요 그룹 최고 인사 책임자를 초청해 열린 ‘청년 일자리 개선을 위한 주요 그룹 간담회’에 참석해 인사말을 하고 있다. 한경협 제공.
정부에서 청년 취업 문제 해결을 위해 기업들에 신규 채용 확대를 요구한 가운데 기업들은 청년 고용 시 세제 혜택 등 정부 지원이 필요하다는 입장을 내놓았다.
25일 한국경제인협회는 서울 영등포구 FKI타워 콘퍼런스센터에서 주요 그룹 최고인사책임자(CHO)를 초청해 ‘청년 일자리 개선을 위한 주요 그룹 간담회’를 개최했다. 삼성, SK, 현대차, LG를 포함해 총 21개 사 최고인사책임자(CHO)가 참석했다.
이날 간담회에서 주요 그룹 CHO들은 현재의 청년 고용 시장의 어려움에 깊이 공감하면서, 청년들이 체감하는 일자리 여건 개선 방안에 대한 의견을 나눴다. 인턴십, 채용박람회 등 다양한 경로를 통해 보다 많은 청년들에게 일 경험 기회를 제공하는 방안 등도 논의됐다.
김창범 한경협 상근부회장은 개회사를 통해 “청년 실업이 지속되면 기업과 국가 경제에 상당한 손실을 초래할 수 있다”며 “이번 간담회가 한국 경제의 미래를 책임질 청년들의 일자리 개선 해법을 모색하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정부의 신입 채용 비중 확대를 포함한 정기 채용 활성화 요구에 기업들은 정부 지원이 필요하다는 입장을 내놓기도 했다. 청년 고용을 늘리는 기업에 대해서 정부가 세제지원 등 인센티브 확대, 노동시장 유연화, 정년 연장 속도 조절 등의 지원 방안을 내놓아야 한다는 의견이 제기됐다.
실제 최근 국내 기업들은 경기 침체와 경영 불확실성 확대로 고용 여력이 위축됐다. 올해 상반기(1~6월) 기준 매출 상위 10대 기업 중 5곳의 영업이익이 전년 같은 기간 대비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경협은 기업의 고용 여력 확충을 지원하기 위한 정책 과제를 발굴해서 정부에 제안하기로 했다. 구체적으로는 통합고용세액공제에서 1인당 청년 공제액을 대기업 기준 400만 원에서 600만 원, 중견 기업 800만 원에서 1000만 원으로 인상하는 방안 등이 거론됐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