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금융산업노동조합 조합원들이 26일 서울 종로구 광화문네거리 인근에서 열린 총파업 대회에서 주 4.5일제, 임금인상 등을 촉구하며 구호를 외치고 있다. 2025.9.26/뉴스1
주요 시중 은행원들이 속한 전국금융산업노동조합(금융노조)이 26일 총파업에 돌입했다. 우려했던 영업 차질은 거의 없었지만 ‘이자 장사’를 한다는 비판을 받고 ‘억대 연봉’을 받는 것으로 알려진 은행원들이 파업에 나서자 비판적인 목소리가 나온다.
금융노조 조합원들은 이날 오전 11시부터 서울 종로구 세종대로 동화면세점~대한문 구간 편도 전 차로를 점거한 채 집회를 벌였다. 주최 측은 전체 노조원 10만여 명 중 8만 명이 참석할 것으로 내다봤지만 본집회엔 노조원의 1% 미만인 8000명(경찰 추산 기준)만 모였다. 3년 전 1만여 명이 모였던 집회보다도 참여 인원이 적었다.
국내 5대 은행 중에선 파업 관련 투표가 무산된 신한은행을 제외한 KB국민·하나·우리·NH농협은행 직원들이 오전 9시경 기준 은행별로 약 50~100명씩 참석한 것으로 알려졌다. 지방은행 직원들이 많은 편이었다. 한 시중은행 관계자는 “영업점이 아닌 본점 직원들이 주로 파업에 참여해 영업 차질은 없었다”고 전했다.
이들은 주 4.5일제와 실질 임금 3.9% 인상, 정년 연장 등을 요구했다. 사측은 주 4.5일제에 회의적이고 임금 인상률은 2%대를 고수하고 있다.
은행들의 이번 파업에 대해 ‘황제 파업’이란 비판도 나온다. 은행들은 예대마진 중심의 ‘이자 장사’로 쉽게 수익을 낸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게다가 최근 5대 시중 은행의 평균 보수가 1억2000만 원에 육박한다는 분석이 나와 금융노조 요구가 공감을 얻지 못하고 있는 분위기다. 김상봉 한성대 경제학과 교수는 “일을 덜 하면서 돈을 더 달라는 것은 논리에 맞지 않다”며 “금융 소비자들의 입장을 뒷전으로 한 파업은 공감을 얻지 못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