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로 인해 28일 서울의 지하철역 내 무인민원발급 서비스가 중단된다고 공지되어 있다. 2025.09.28. [서울=뉴시스]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 화재로 정부기관 서비스가 중단되면서 금융사들이 긴급 대응 체계를 가동하고 나섰다.
신한금융그룹은 28일 국정자원 화재에 따른 정부기관 서비스 중단 사태와 관련해 그룹 위기대응 체계를 즉시 가동하고, 은행 등 주요 그룹사와 대응방안을 논의하고 있다고 밝혔다.
전날에는 그룹 리스크 부문장(CRO) 주재 회의를 열고 은행, 카드, 증권, 저축은행 등 주요 그룹사와 함께 대응 상황 모니터링 체계를 구축했다.
주민등록증 관련 비대면 실명인증과 신분증 진위확인 등 정부기관 중단 업무 내용을 주요 그룹사 홈페이지와 모바일 앱을 통해 공지하고, 모바일 운전면허증 등 대체 인증 수단·이용 서비스 현황을 안내하고 있다.
오는 29일에는 각 그룹사의 영업점 업무 개시 이후 영업점과 콜센터에서 화재 사고로 처리하지 못한 고객 업무를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사전에 응대 방안을 마련할 예정이다.
신한금융은 일부 금융거래 프로세스 장애로 전체 업무가 중단되는 상황을 예방하기 위해 전산 장애 발생 시 신속하게 시스템을 분리·대체 운영할 수 있도록 전체 시스템을 모니터링 중이다. 그룹 내 정보보안 비상체계도 강화하는 등 금융사고 예방과 금융서비스 안정화를 위한 조치도 병행하고 있다.
신한금융 관계자는 “신한금융은 이번 사태 해결을 위해 금융당국 등 정부 관계 기관과 적극 협조해 나갈 것”이라며 “어떤 상황에서도 금융 안정성을 유지하며 고객 불편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KB금융그룹도 이번 화재에 따른 본인인증, 공공마이데이터 등 장애와 관련해 실시간 현황을 점검 중이다. 지난 26일 사태 이후 양종희 KB금융 회장을 포함한 비대면 비상대응회의체를 운영하고 있다.
은행, 증권, 손보, 카드, 캐피탈 등 각 계열사들은 IT부문 위기대응 매뉴얼에 따라 전산센터, 인프라, 금융서비스를 점검했다. KB금융 관계자는 “현재까지 고객 피해 최소화를 위한 고객 안내, 대체수단 마련을 위해 노력 중”이라고 전했다.
한편 지난 26일 오후 발생한 국정자원 화재로 주민등록증 진위여부 확인 등 신분확인 절차, 인터넷 지로와 과금 납부 등 행정기관 연계 금융서비스, 우체국 연계 금융서비스 등에 대한 장애가 발생했다.
금융권에서는 주민등록증·여권·모바일신분증 등 진위확인 서비스, 국민비서, 전자증명서, 디지털개방서비스, 공공마이데이터, 정부24 이용 대출상품, 우체국 금융서비스 등의 업무가 불가능한 상황이다. 다만 실물 운전면허증 진위확인 서비스는 정상 운영된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