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세청 납세 시스템 정상화…기재부 홈페이지-관가 e메일은 아직

  • 동아일보
  • 입력 2025년 9월 28일 20시 12분


코멘트
28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중앙사고수습본부 회의에서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왼쪽 두번째)이 발언하고 있다. 2025.9.28 기획재정부 제공
28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중앙사고수습본부 회의에서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왼쪽 두번째)이 발언하고 있다. 2025.9.28 기획재정부 제공
대전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로 중단됐던 정부 디지털예산회계시스템(디브레인), 열린재정, e나라재산, 국세외수입포탈 등 대민시스템이 28일 오후 4시부터 정상 가동이 시작됐다고 기획재정부는 밝혔다. 이에 따라 국세청 납세 시스템도 이날 오후 늦게부터 정상화됐다.

디브레인은 국가의 세입·세출, 회계, 기금 등 전 과정을 전산화해 관리하는 플랫폼이다. 화재 직후부터 디브레인 플랫폼이 중단됨에 따라 국세청의 납세 시스템에도 차질이 빚어진 바 있다. 별도 서버망으로 운영돼 이번 화재의 영향을 받지 않은 홈택스 외에 민간 금융권 앱, ATM, 가상계좌, 지로 등을 통한 납세는 차단된 것이다.

기재부가 이날 오후 4시 디브레인 복구를 완료한 이후 디브레인과 민간 은행과의 연결도 복구되며 오후 7시경 부터 했지만 홈택스 외 납부 시스템도 정상화됐다.

디브레인 정상화로 월말 국고금 수납, 자금이체 등 재정정보시스템의 모든 기능이 원활하게 수행될 예정이다. 하지만 여전히 기재부 및 산하 기관 홈페이지 접속, 공무원 결재시스템 뿐 아니라 공무원 간 e메일 교환도 불가능한 상태다. 이 때문에 이날 관가에서는 팩스나 전화로 업무 전달을 하는 진풍경이 펼쳐지기도 했다. 기재부 관계자는 “향후 국정자원과 협조해 빠른 시일내에 복구되도록 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한편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이날 오후 정부서울청사에서 중앙사고수습본부 회의를 열고 대전 국정자원 화재와 관련해 디브레인, 기재부 홈페이지 등의 긴급 복구 진행 상황을 점검했다.

#기재부#디브레인#국세청#납세시스팀 정상화#홈택스
©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