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의 통합 디지털 지갑 서비스 ‘삼성월렛’이 2015년 8월 첫선을 보인 이후 올해로 출시 10주년을 맞이했다. 삼성월렛은 지난 10년간 모바일 결제 생태계 변화를 이끌며 사용자들에게 새로운 월렛 서비스 경험을 제공했다.
삼성월렛은 지갑 없이도 모바일만으로 결제가 가능하다는 혁신을 넘어 일상생활 전반을 연결하는 새로운 디지털 라이프 경험을 주는 통합 디지털 월렛 플랫폼으로 진화하고 있다.
국내 간편결제 서비스 시장은 2016년 약 23조5000억 원에서 2024년에는 10배 이상 성장한 약 350조 원 규모를 기록하며 간편결제가 일상생활의 필수적인 부분으로 자리 잡았다. 변화하는 모바일 결제 환경에서 삼성월렛은 사용자들에게 이전에 경험해 보지 못한 편의와 새로운 서비스를 제공하며 급격히 성장했다.
삼성월렛은 단순한 모바일 결제 기능을 넘어 △교통카드 △멤버십 △계좌 관리 및 이체 △항공권·티켓 △모바일 쿠폰 등 다양한 서비스를 통합 제공해 실물 지갑을 대체하는 ‘디지털 지갑’으로 자리 잡았다.
특히 실물 신분증과 동일한 행정적 효력을 가진 △모바일 주민증록증과 운전면허증, 국가보훈등록증 △모바일 학생증 △전자증명서 조회 및 제출 등 디지털 신원 확인 기능까지 지원한다.
또 자동차 키(UWB, NFC 지원) 기능을 지원해 일상생활 속 각종 편의 기능을 하나의 디지털 월렛 플랫폼에 담았다.
이 같은 혁신적인 기능과 서비스로 국내에서 삼성월렛의 가입자 수는 2015년 160만 명에서 2025년 현재 1866만 명으로 10년간 약 11배 증가했다.
삼성전자는 그동안 국내 금융사 및 간편결제 업체와 제휴를 통해 삼성월렛의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더욱 편리하고 안전한 국내 모바일 결제 환경을 조성하는 데 기여했다.
2015년 삼성월렛 출시 당시 국내 모든 신용카드 가맹점 매장에서는 결제를 위해 마그네틱 리더기 방식(MST)의 단말기를 사용하고 있었다. 삼성월렛은 가맹점의 부담을 덜기 위해 추가 비용 발생 없이 기존 결제 인프라를 그대로 활용할 수 있도록 MST 방식을 채택했고 동시에 비접촉 기반 결제 방식인 NFC까지도 채택해 국내외 활용도를 넓혔다.
또 도입 초기부터 생체 인증 기반 결제 기능을 채택해 실물 카드보다 안전한 결제가 가능하도록 했고 온오프라인 결제도 동시 지원하는 편의성을 제공해 왔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