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10년 동안 연령대별 실질소득 증가율을 분석한 결과 20대 청년들의 소득 증가율이 1%대에 그치며 모든 세대를 통틀어 가장 낮았다. 20대 비정규직이 늘어나는 등 ‘고용의 질’이 나빠지면서 근로소득 증가율이 다른 세대에 비해 낮았던 것으로 풀이된다.
한국경제인협회가 29일 발표한 ‘2014~2024년 세대별 실질소득 추이 분석’에 따르면 20~29세 청년층의 최근 10년간 연평균 실질소득 증가율은 1.9%였다. 이 기간 30대의 실질소득 연평균 증가율은 3.1%였으며 △40대 2.1% △50대 2.2% △60대 이상 5.2%로 모두 2%를 넘겼다. 20대만 유일하게 1%대에 그친 것이다. 20대 청년층의 실질소득 증가율은 최근 5년(2019~2024년)에 국한해서 보면 연평균 1.1%까지 떨어진다.
20대 청년층의 실질소득 증가율이 유독 낮은 이유로는 고용의 질 저하가 꼽힌다. 상대적으로 근로소득이 적은 비정규직 비율이 다른 세대보다 20대 청년층에서 높다. 청년 취업자 중 비정규직 비중은 2014년 32.0%에서 2024년 43.1%로 10년새 11.1%포인트 증가했다. 정규직과 비정규직의 월평균 임금 격차는 같은 기간 115만2000원에서 174만8000원으로 더 크게 벌어졌다.
외식의 잦은 20대의 특성상 최근 외식물가 상승도 청년층 실질소득 증가 부진의 원인 중 하나로 꼽혔다. 청년층 소비지출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 음식·숙박비는 외식비를 중심으로 최근 5년 동안 연평균 4.0% 상승했다. 한경협은 “청년층의 실질소득을 높이려면 고용의 질을 개선하는 노동시장 정책과 함께 외식물가 안정화를 통한 체감물가 완화가 필요하다”고 분석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