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금융, 생산적-포용금융 80조 투입

  • 동아일보

코멘트

5년간 ‘미래동반성장 프로젝트’
업계 첫 국민성장펀드 10조 투자
AI-반도체 등 첨단산업에 63조
7조는 취약계층-소상공인 지원

임종룡 우리금융그룹 회장이 29일 오전 서울 중구 우리은행 본점에서 ‘우리금융 미래동반성장 프로젝트’를 발표하고 있다. 뉴스1
임종룡 우리금융그룹 회장이 29일 오전 서울 중구 우리은행 본점에서 ‘우리금융 미래동반성장 프로젝트’를 발표하고 있다. 뉴스1
우리금융그룹이 국민성장펀드를 포함해 향후 5년 동안 ‘생산적·포용 금융’에 총 80조 원을 투입하기로 했다. 주택담보대출 등 개인대출 위주의 사업 모델에서 벗어나 첨단 기업에 집중 투자하고 취약계층 지원을 늘리기 위한 조치다. 또 민간 기관으로서는 처음으로 이재명 대통령이 발표한 150조 원 규모 ‘국민성장펀드’에 10조 원을 투자하기로 했다.

29일 임종룡 우리금융그룹 회장(사진)은 서울 중구 우리은행 본점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우리금융 미래동반성장 프로젝트’를 발표했다. 임 회장은 “이자 장사에 치중했다는 비판을 겸허히 수용한다”며 “저성장 국면을 전환해야 하는 시점에서 기업과 산업의 성장을 이끌 수 있도록 ‘범금융 프로젝트’를 추진할 것”이라고 밝혔다. 앞서 이 대통령이 금융권에 “이자 놀이에 매달릴 게 아니라 투자 확대에도 신경 써 주길 바란다”고 지적한 데 대해 우리금융이 산업 활력 불어넣기에 나서겠다고 화답한 셈이다.

우리금융은 2030년까지 총 80조 원을 생산적 금융(73조 원)과 포용 금융(7조 원)에 각각 투입한다. 생산적 금융은 국민성장펀드 참여(10조 원), 그룹 자체 투자(7조 원), 융자(56조 원) 등으로 구성된다. 특히 국민성장펀드는 이 대통령이 지난달 10일 제시한 구상에 발맞춘 민간 금융기관의 첫 번째 참여다. 국민성장펀드는 150조 원 규모로 조성되며 이 중 50%(75조 원)가 민간 자금인데, 이 중 13%를 우리금융이 책임지겠다는 얘기다.

그룹 자체 투자·융자(63조 원)는 인공지능(AI), 반도체 등 10대 첨단전략 산업 전반에 투입할 계획이다. 임 회장은 “단순한 선언적 발표가 아니며 우리금융이 국가 경제 성장의 선도 역할을 하기 위한 조치”라고 강조했다.

포용 금융을 위해 조성되는 7조 원은 금융 취약계층, 소상공인 지원 등에 투입된다. 우선 신용등급 7등급 이하인 저신용 고객의 대출금리가 인하된다. 신규 저신용 고객은 0.3%포인트, 기존 성실 상환 고객 중 4∼7등급은 0.4%포인트, 8등급 이하는 1.5%포인트씩 대출금리가 낮아진다.

현재 6곳인 ‘소상공인 종합지원센터’를 11곳으로 늘려 대면 상담과 현장 지원도 강화한다. 이를 통해 매년 11만 명씩 5년간 총 55만 명의 소상공인·취약계층이 혜택을 볼 것이라는 게 우리금융의 추산이다.

80조 원 규모 자금을 쏟아내면 ‘밸류 업’(주주가치 제고) 행보에 차질을 빚게 되는 것 아니냐는 기자들의 질문에 임 회장은 “이번 프로젝트를 준비하는 (과정에서) 재무안정성 시뮬레이션을 지속적으로 실시해 왔다”며 “연말 그룹의 보통주자본비율 12.5% 달성, 배당 확대 등의 밸류 업 계획을 차질 없이 이행할 것”이라고 밝혔다.

#우리금융그룹#국민성장펀드#임종룡#우리금융#미래동반성장 프로그램
©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