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대재해처벌법 시행 4년 차… KMAC-린 세미나서 대응 전략 모색

  • 동아경제

코멘트

규정 준수 넘어 ‘현장 실행’ 중심 패러다임 전환

사진=한국능률협회컨설팅 제공
사진=한국능률협회컨설팅 제공
중대재해처벌법 시행 4년 차를 맞아 기업들의 안전관리 부담이 갈수록 커지고 있다. 최근 포스코건설, 현대제철 등 대기업 기소 사례가 이어지며 경영진 형사처벌과 과징금 부과가 현실화되는 가운데, 안전보건 관리의 기준은 단순히 ‘규정 준수 여부’에서 ‘현장 실행 여부’로 무게 중심이 이동하고 있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한국능률협회컨설팅(KMAC, 대표 한수희)과 법무법인(유) 린(대표변호사 임진석)은 지난 26일 서울지방변호사회관에서 ‘중대재해처벌법 컴플라이언스: 기업의 통합 리스크 관리’ 세미나를 공동 개최했다. 이번 세미나에는 전략, 안전, HR, 컴플라이언스 부서 실무진과 책임자 100여 명이 참석했다.

이번 세미나에서는 ▲판례를 통해 본 안전관리체계 구축 핵심과 제재 강화 동향 ▲전사적 안전관리 구현 전략 및 디지털 솔루션 적용 ▲중대재해처벌법 수사 대응 전략 등 실무진이 가장 궁금해하는 주제를 중심으로 진행됐다. 이어진 네트워킹 세션에서는 안전관리체계 우선순위, 디지털 솔루션 도입 전략, 수사 대응 매뉴얼 정비 등 현실적 과제가 논의됐다.

특히 KMAC는 컨설팅·디지털·교육을 아우르는 End-to-End 안전보건 체계를 제시했다. 이는 위험성평가, 도급·협력사 관리, 변경관리(MOC), 비상대응 체계 등을 시스템에 즉시 반영하고 교육과 연결해 ‘설계-운영-문화’의 선순환 구조를 완성하는 방식이다.

이 체계의 중심에는 KMAC의 디지털 플랫폼 Safe On이 있다. Safe On은 중대재해처벌법 및 산업안전보건법의 요구사항을 자동 분해해 과제·담당자·기한 단위로 배정한다. 현장 점검-조치-검증은 단일 워크플로로 이어지며, 모든 이행은 증빙과 감사 이력으로 기록된다. 이를 통해 “전략과 절차”가 곧바로 “현장의 행동과 결과”로 전환되도록 지원한다.

또한 KMAC는 업종별 리스크 프로파일링, SOP·체크리스트 설계, 선행·후행 지표 관리, 파일럿 PDCA 검증, 리더십 및 관리감독자 코칭 등을 결합해 안전을 현장의 습관으로 정착시키는 방안을 제안했다. 이를 통해 행정 부담은 줄이고 현장 개선 속도는 높이며, 안전문화 내재화가 가능해진다는 설명이다.

세미나 참석자들은 실질적인 대응 전략을 얻을 수 있었다는 평가를 내놨다. 한 참석자는 “중대재해처벌법 대응을 위한 안전관리체계 구축 방향과 수사절차 대응 전략을 구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어 매우 유익했다”고 말했다.

법무법인 린 박은석 중대재해대응팀장은 “중대재해처벌법 강화로 기업 경영 전반에 미치는 파급효과가 예상보다 클 것”이라며, “특히 안전·HR 부서가 단독으로 대응하기 어려운 복합적 이슈들이 많아 법률과 경영 컨설팅을 결합한 접근이 필수적”이라고 강조했다.

KMAC 관계자 역시 “안전관리 정책 강화 시대에는 조직의 통합적 대응 체계가 지속가능성의 핵심”이라며 “KMAC의 디지털 솔루션과 조직·인사 전문성, 법무법인 린의 법률 역량을 결합한 통합 솔루션으로 기업들의 성공적 전환을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