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양육 전문 바이오 스타트업 다나그린(대표 김기우)은 독자적으로 개발한 3차원 식용 지지체(Scaffold) 기반의 어류 배양육에 대해 세계 최초로 싱가포르 식품청(Singapore Food Agency, SFA)에 인허가를 위한 식품 안전성 평가를 신청했다고 밝혔다.
다나그린의 이번 인허가 신청은 배양육 상용화를 위한 핵심적인 이정표로, 규제 환경이 명확한 싱가포르 시장을 교두보로 삼아 글로벌 시장 진출을 본격화하겠다는 전략의 일환이다. 회사는 2022년 싱가포르 현지 법인을 설립한 이후 SFA를 포함, 다양한 현지기관들과의 협의를 통해 인허가 절차를 준비해왔다.
다나그린의 핵심 경쟁력은 식물성 단백질로 만든 3차원 식용 지지체 기술에 있다. 이 지지체 내에서 어류 세포를 배양해 실제 생선 살과 유사한 조직감과 풍미를 구현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는 단순한 세포 덩어리가 아닌, 실제 생선의 조직과 유사한 구조를 형성하여 기존 배양육의 한계로 지적되던 식감을 획기적으로 개선한 기술로 평가받는다.
안정적인 생산 기반 확보를 위한 노력도 결실을 보았다. 서울 가산디지털단지에 위치한 파일럿플랜트 다나그린혁신센터는 성공적인 스케일업과 함께, 2024년 식품안전관리인증기준(HACCP)과 식품안전경영시스템(ISO 22000) 인증 또한 취득했다. 이를 통해 안전하고 위생적인 배양육을 생산할 수 있는 글로벌 표준의 생산 시스템을 공인받았다.
다나그린은 2026년 SFA 최종 승인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승인 후 싱가포르 내 유통 및 판매를 시작할 계획이다. 올해 말 현지에서 시식회를 개최하여 제품의 우수성을 알릴 예정이다.
또한, 다나그린은 유일한 전략적 투자자인 한화솔루션과의 협업을 이어가며 대기업과 스타트업 간 상생 사례를 만들어가겠다는 뜻을 밝혔다.
김기우 다나그린 대표는 “이번 SFA 인허가 신청은 다년간의 연구개발의 결과가 상용화로 이어지는 의미 있는 성과”라며, “2026년 싱가포르 상용화를 기점으로 생산 단가를 획기적으로 낮추고, 소고기, 닭고기 등 다양한 축종으로 포트폴리오를 확장할 것이며 축적된 데이터와 전략적 협업을 바탕으로 미국, 유럽, 중국 등 주요 시장으로 빠르게 확장하겠다”고 말했다.
회사는 향후 배치(Batch)당 생산량을 현재 2kg에서 2026년까지 20kg으로 10배 늘리고, 고가의 소태아혈청(FBS)을 대체하는 기술을 통해 생산 단가를 kg당 1만 7000 원 수준까지 낮춰 가격 경쟁력을 확보한다는 방침이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