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제철 노사 ‘강대강’… 관세 압박속 갈등 장기화 우려까지

  • 동아일보

코멘트

노무 수령 거부 등 노사갈등 심화
사측 “절체절명의 시점… 하나 돼야”
노조 “내달 초중순 총파업 나설수도”

현대제철이 직장 폐쇄에 이어 노무 수령 거부에 나서는 등 1953년 창립 이후 가장 극단적인 노사 갈등을 빚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철강 제품에 대해 25% 관세 부과를 한 상황에서 극단적인 노사 갈등이 새로운 경영 위기의 이유가 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25일 업계에 따르면 현대제철은 24일 낮 12시 충남 당진제철소 1·2 냉연공장의 산세압연설비(PL/TCM) 라인을 직장 폐쇄한 데 이어 오후 7시경 후공정에 해당하는 냉연강판 생산 라인 근로자들에게 ‘노무 수령 거부’를 통보했다. 노무 수령 거부는 쟁의행위를 하는 노조에 대해 사용자가 근로 제공을 받지 않겠다고 선언하는 행위다.

이번 조치는 현대제철 냉연강판 전체 생산량의 약 70%를 차지하는 핵심 설비의 전면 가동 중단을 의미한다. 냉연강판은 자동차와 가전 등 주요 산업에서 필수 소재로 쓰인다.

현대제철 노조(당진하이스코지회)는 “노무 수령 거부는 부당노동행위에 해당한다”며 반발하고 나섰다. 노조는 조합원들에게 정상 출근과 현장 증거 확보 지침을 내리는 한편 회사가 요구를 들어주지 않으면 3월 초중순 총파업에 나설 수 있다는 입장을 나타냈다. 이번 사태로 인해 현대제철이 경영 위기에 직면할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철강 수요 감소와 중국산 저가 공세로 지난해 현대제철의 영업이익은 전년 대비 60.6% 줄었다. 올들어 미국 트럼프 행정부의 철강 관세 부과라는 새로운 악재까지 더해지며 위기 상황이 심화되고 있다. 현대제철은 지난해 11월 경북 포항 제2공장 가동을 중단하며 비용 절감에 나서는 한편 미국에 제강 시설 투자를 검토하는 등 관세 압박 대응책도 준비하고 있다.

서강현 현대제철 사장은 이날 담화문을 내고 “지금은 갈등을 심화시킬 때가 아니다. 우리가 하나 되어 어려움을 헤쳐가야 할 절체절명의 시점”이라며 “파업은 회사의 생존 기반을 약화시키는 행위로 결국 모두에게 돌이킬 수 없는 피해를 남길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이번 노사 갈등의 원인이 된 임금 협상에서 현대제철 노조는 현대차·기아 수준인 1인당 4000만 원 수준의 임금 인상안을 마련해 달라며 회사 측이 제안한 협상안(기본급의 450%+성과급 1000만 원)을 거부하고 있다.

#현대제철#노사 갈등#노무 수령 거부
©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