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노벨 평화상 수상자인 일본 원수폭피해자단체협의회(日本被團協·니혼히단쿄)는 시상식에 참석해 일본 정부에게 보상 책임이 있다는 점과 함께 한국인 피해자들도 언급했다.
11일 일본 공영 NHK 등에 따르면 노르웨이 수도 오슬로에서 열린 시상식 니혼히단쿄 대표로 연설에 나선 다나카 데루미(田中煕巳) 니혼히단쿄 대표위원은 “우리들은 1956년 8월 니혼히단쿄를 결성했다”며 비인도적인 피해가 반복되는 일이 없도록 2가지 기본적인 요구를 내걸어왔다고 밝혔다.
이어 “하나는 일본 정부의 ‘전쟁 피해는 국민이 수인해야 한다’는 주장에 맞서 ‘원폭 피해는 전쟁을 개시하고 수행한 국가에 의해 보상돼야 한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두 번째는 핵무기는 극히 비인도적인 살육무기이며 인류와 공존시켜서는 안 된다, 신속하게 폐기해야 한다”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다나카 위원은 1994년 12월 일본에서 ‘원자폭탄 피폭자에 대한 원호에 관한 법률’이 제정됐지만 “수십만 명의 사망자에 대한 보상은 전혀 없으며 일본 정부는 일관적으로 국가 보상을 거부하고, 방사선 피해에 한정한 대책만을 오늘날까지 계속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특히 “이러한 법률은 오랜 기간 국적에 관계 없이 해외 거주 원폭 피해자에게 적용되지 않았으며, 일본에서 피폭돼 모국으로 돌아간 한국의 피해자, 전후 미국, 브라질, 멕시코, 캐나다, 이 밖에 이주한 많은 피폭자는 피폭자 특유의 질병을 안고 원폭 피해에 대한 이해 부족에 시달렸다”고 지적했다.
그는 그러면서 “각 나라에서 결성된 원폭 피해자 모임과 우리는 연대해 어느 때에는 공동으로 재판 등 활동을 통해 국가에 호소해 국내와 거의 같은 원호를 하게 됐다”고 말했다.
이번 니혼히단쿄 시상식 대표단에는 한국에 거주하는 원폭 피해자 등도 이름을 올린 것으로 알려졌다.
다나카 위원은 연설에서 자신의 피폭 경험을 회고하기도 했다. “저는 나가사키(長崎) 원폭 피폭자 중 한 명이다”고 했다. 13살 때 가족 5명을 모두 잃었다며 “그 때 눈으로 본 사람들의 죽음은 인간의 죽음이라고는 말 할 수 없는 모양이었다”고 말했다.
그는 “비록 전쟁이라고 하더라도 이런 식의 살인 방식, 이런 식으로 부상을 입혀서는 안 된다고 나는 그 때 강하게 느꼈다”고 말했다.
아울러 “세계의 여러분 ‘핵무기금지조약(TPNW)’을 더 보편화하고 핵무기 폐기 국제조약 체결을 목표로 핵무기 비인도성을 감성으로 수용할 수 있는 원폭페험 증언의 자리를 각국에서 열어달라”고 촉구했다.
이어 “핵무기국과 그 동맹국 시민들 속 제대로 된 핵무기는 인류와 공존할 수 없다, 공존시켜서는 안 된다는 신념이 뿌리내리는 것, 자국 정부 핵정책을 바꾸는 힘이 되는 것을 우리들은 바라고 있다”고 강조했다. “인류가 핵무기로 자멸하는 일이 없도록, 그리고 핵무기도 전쟁도 없는 인간사회를 모색해 함께 노력하자”고 말했다.
니혼히단쿄는 히로시마, 나가사키에 원폭이 투하된지 11년 후인 1956년 결성됐다. 피폭 피해자 등이 핵무기 폐기 등 목소리를 68년에 걸쳐 전 세계에 발신해왔다.
일본인이 노벨평화상을 받는 것은 1974년 사토 에이사쿠(佐藤栄作) 전 총리 이래 50년 만이다. 일본인으로서 두 번째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