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율 처음 밝혀… 4월 2일 발표예정
“美 생산땐 무관세” 대미 투자 유도
한국 핵심 수출품 車-반도체 비상
美 소비자들 ‘高물가는 트럼프 탓’ 스티커 붙여
도널드 트럼프 2기 미국 행정부가 고관세 통상전쟁을 예고한 가운데 최근 미국의 물가 상승세가 심상치 않다. 특히 달걀 등 식료품 가격이 크게 오르자 일부 소비자들은 트럼프 대통령이 고물가를 초래했다며 “내가 한 짓”이라고 적힌 스티커를 마트 진열대에 붙이고 있다. 한 시민이 랜치 소스의 가격표에 이 스티커를 붙이는 모습. 사진 출처 ‘X’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미국으로 수입되는 자동차, 반도체, 의약품에 최소 25%의 관세를 부과할 방침이라고 18일(현지 시간) 밝혔다. 자동차와 반도체는 한국의 핵심 수출 품목이라 국내 산업계의 우려가 깊어지고 있다. IBK기업은행 경제연구소는 미국이 수입차에 25%의 관세를 부과하면 지난해 347억 달러였던 한국의 대미 자동차 수출액이 18.6% 감소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감소액은 64억6000만 달러(약 9조3000억 원)에 이른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플로리다주 사저 마러라고 리조트에서 가진 기자회견에서 자동차 관세에 대한 질문을 받고 “아마도 4월 2일에 이야기할 텐데 25% 정도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또 반도체와 의약품 관세는 “25% 혹은 그 이상이 될 것”이라며 “관세는 1년에 걸쳐 훨씬 더 인상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이런 관세는 ‘상호 관세’ 조치에 더해 적용될 수 있다”고 내다봤다.
취임 뒤 연일 ‘관세 폭탄’을 터뜨려 온 트럼프 대통령은 앞서 4월 2일을 상호 관세 적용 시기로도 예고했다. 하지만 그는 이날 “(해외) 기업이 미국으로 들어올 약간의 시간을 주고 싶다. 미국에서 공장을 세우면 관세가 없기 때문”이라며 협상의 여지를 남겼다. 일각에선 4월 2일 관세 부과 계획이 발표되더라도 실제 발효까지는 일정 기한을 두고 외국 기업들의 투자를 유도할 것이란 관측도 나온다.
트럼프 대통령은 또 “세계에서 가장 큰 기업들로부터 연락을 받았다. 우리의 관세, 세금, 인센티브 덕에 그들이 미국으로 돌아오고 싶어 한다”며 “반도체와 자동차 및 여러 산업이 미국에 공장을 세우고 싶어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와 WSJ 등은 강경 보호무역주의자인 피터 나바로 백악관 무역·제조업 담당 고문이 트럼프 2기의 관세 정책을 주도하고 있다고 18일 진단했다. 또 미 상원은 이날 하워드 러트닉 상무장관 후보자의 인준을 완료했다. 그는 최근 의회 청문회에서 “우리의 동맹들은 우리의 선량함을 이용해 왔다”며 한국의 가전 등을 예로 들며 “그 생산을 다시 미국으로 가져올 때”라고 했다. 그는 한국 기업 등에 보조금을 제공한 조 바이든 행정부의 반도체 지원법(칩스법), 인플레이션감축법(IRA) 등에도 부정적 인식을 드러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