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정부, 동지국에 무인기 공여 적극 확대…中산 대체 선택지로 판로 개척

  • 뉴시스(신문)

코멘트

“中드론은 기밀 유출 우려, 대체 선택지 요구 목소리 있어”


일본 정부는 올해 4월부터 인도·태평양 지역 동지국을 대상으로 자국산 무인기(드론) 공여를 확대한다고 20일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이 보도했다. 중국 견제 의도가 깔려있다.

신문에 따르면 일본 정부는 동지국에 방위 장비품 등을 무상 제공하는 ‘정부안전보장능력강화지원(OSA)’ 틀을 이용해 공여할 방침이다.

일본 정부는 2025년도 예산안에 OSA 관련 비용을 전년 보다 60%나 많은 81억엔(약 770억 원)으로 잡았다. 이를 사용해 드론을 공여할 계획이다.

일본 정부는 8~9개국에 드론을 적극적으로 공여한다.

일본 정부는 2023년 말레이시아에 소형 드론을 공여한 바 있다. 이외에는 공여 사례가 없다. 이번에는 상대국의 요청에 따라 기종, 수량 등을 결정해 공여한다.

일본 정부가 드론 공여에 적극적으로 나서는 배경에는 두 가지 이유가 있다. 하나는 해외 공여를 통한 일본 드론 산업 향상이다.

신문은 “세계 시장에서 대두하고 있는 중국 드론을 대신할 선택지로서 (일본) 국내 산업 육성으로 연결하려는 목적도 있다”고 짚었다. 우선 무상 공여해 일본 제품 장점을 알리고 판로를 개척할 의도가 있다.

일본UAS산업진흥협의회에 따르면 일본 드론 제조업체는 약 20개, 공급업체는 50개 이상 있다. 하지만 이들 기업은 세계 시장 점유율 상위권에는 들어가지 못하고 있다.

일본 경제산업성은 드론 개발·도입 등에 대해 보조금, 지원 사업을 준비 중이다. 다방면에서 자국 산업 육성에 나선다.

다른 한 가지 이유는 인도·태평양에서의 수요다.

세계 드론 제조업체들 가운데에서 중국제 드론의 질주가 눈에 띈다. 그론인더스트리인사이트의 2023년 조사에 따르면 민간용 드론 제조사 가운데 세계 점유율 1위는 중국의 DJI였다.

특히 점유율 상위 5개사 가운데 3개사가 중국 업체였다.

신문은 “중국산 드론이 얻은 화상 데이터 등 국가 안보와 관련된 기밀 정보가 유출될 위험이 있어 우려된다”며 “정보 보호 관점에서 중국산 이외 선택지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존재한다”고 전했다.

[서울=뉴시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오늘의 추천영상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