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동아일보
오피니언
정치
경제
국제
사회
문화
연예
스포츠
헬스동아
트렌드뉴스
통합검색
언어선택
방문하고자 하는 언어의 홈페이지를 선택하세요.
한국어
English
中文(簡体)
日本語
마이페이지
전체메뉴 펼치기
국제
“꿀벌 수억마리 떼죽음” 파산 앞둔 양봉업계…美서 무슨 일?
뉴시스(신문)
업데이트
2025-04-01 04:10
2025년 4월 1일 04시 10분
입력
2025-04-01 04:09
2025년 4월 1일 04시 09분
코멘트
개
좋아요
개
코멘트
개
공유하기
공유하기
SNS
퍼가기
카카오톡으로 공유하기
페이스북으로 공유하기
트위터로 공유하기
URL 복사
창 닫기
즐겨찾기
읽기모드
뉴스듣기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가
가
가
가
가
창 닫기
프린트
광주지역에 봄꽃이 피어나고 있는 12일 오전 광주 북구 석곡동 한 수목원에 심어진 산수유 나무에서 꿀벌이 꽃가루를 모으고 있다. 2025.03.12 광주=뉴시스
미국에서 전례 없는 꿀벌 떼죽음 현상이 발생하며 양봉 업계가 파산에 직면했다. 과학자들은 꿀벌 개체 수 감소의 주요 원인을 파악하기 위해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25일(현지시각) 가디언 등 외신에 따르면 미국 비영리 단체 ‘프로젝트 아피스 엠’이 미국 내 일부 양봉업자들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지난 겨울 꿀벌 군체(집단)의 60% 이상이 사라졌다.
이는 기록적인 수치로, 코넬대학교 곤충학 교수 스콧 맥아트는 “미국 역사상 가장 큰 꿀벌 개체 수 감소”로 보인다고 말했다.
미국에서 꿀벌은 사과, 베리, 호박, 멜론, 체리 등 많은 작물의 수분 작용(꽃가루받이)을 담당하며 농업 시스템의 필수적인 존재로 자리 잡았다. 그러나 꿀벌 개체 수가 줄어들며 이러한 자연적 작업이 어려워지고 있다.
맥아트 교수는 “올해 정말 심각한 일이 벌어지고 있다”며 “일부 지역에서는 엄청난 피해를 보았고 일부 아몬드 농장에서 수분 작용이 부족하기도 했다”고 전했다.
겨울철 꿀벌의 10~20% 정도가 죽는 것은 일반적인 현상이다. 그런데 20년 전부터 군체 대부분이 사라지는 ‘군체 붕괴 장애(CCD)’ 현상이 나타났다. 현재 미국에선 꿀벌 군체의 절반이 죽는 심각한 상황에 이르렀다.
이에 따라 꿀 생산량이 감소하고 꿀 가격은 5% 상승했다. 감소한 꿀벌과 관련된 손실액은 1억3900만 달러(약 2044억4120만원)로 평가된다.
과학자들은 기후 위기, 서식지 감소, 살충제 사용 등이 야생 꿀벌들의 생존에 심각한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예상한다. 양봉 꿀벌의 경우 영양 부족, 부실한 관리, 진드기와 같은 기생충으로 큰 피해를 봤다.
또 곤충의 감소가 식량 생산, 식물의 개화, 폐기물 처리와 같은 지구 생명체들의 기본적 기능을 위태롭게 한다고 경고했다.
이번 대규모 꿀벌 폐사는 미국 농무부에서 조사 중이다. 벌, 밀랍, 꽃가루 샘플을 분석해 사망 원인을 파악하고 있다. 코넬대학교도 추가 연구를 맡아 농약의 영향을 확인하고 있다.
과학자들은 주요 원인을 파악하는 데 약 한 달이 걸릴 것으로 보고 있다.
[서울=뉴시스]
좋아요
0
개
슬퍼요
0
개
화나요
0
개
댓글
0
댓글을 입력해 주세요
등록
오늘의 추천영상
지금 뜨는 뉴스
진성준, ‘대주주 기준 완화’ 공개 반대…“주식시장 안 무너져”
북한 인기 드라마 속 여성 혐오…왜 북한은 가부장적 사회일까[주성하의 ‘北토크’]
“굿바이, 쏘니”…EPL의 전설, 10년만에 토트넘 결별
창 닫기
닫기
댓글
0
뒤로가기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