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미 관세전쟁’ 中, EU에 연이어 손짓…아세안도 접촉

  • 뉴시스(신문)
  • 입력 2025년 4월 10일 13시 56분


코멘트

왕원타오 상무부장, 셰프코비치 EU 집행위 통상담당위원과 화상회담
아세안 의장국 말레이시아 통상장관과도 의견 교환

미국과 상호관세를 두고 난타전을 벌이고 있는 중국이 유럽연합(EU)을 향해 연일 공동전선 구축에 대한 희망을 내비치고 있다. 사진은 허리펑 중국 부총리가 지난달 27일 방중한 마로스 셰프코비치 유럽연합(EU) 집행위원회 통상 담당 위원과 베이징에서 회담에 들어가기 앞서 악수를 나누는 모습. 2025.04.10 [베이징=신화/뉴시스]
미국과 상호관세를 두고 난타전을 벌이고 있는 중국이 유럽연합(EU)을 향해 연일 공동전선 구축에 대한 희망을 내비치고 있다. 사진은 허리펑 중국 부총리가 지난달 27일 방중한 마로스 셰프코비치 유럽연합(EU) 집행위원회 통상 담당 위원과 베이징에서 회담에 들어가기 앞서 악수를 나누는 모습. 2025.04.10 [베이징=신화/뉴시스]
미국과 상호관세를 두고 난타전을 벌이고 있는 중국이 유럽연합(EU)을 향해 연일 공동전선 구축에 대한 희망을 내비치고 있다.

10일 중국 상무부에 따르면 왕원타오 상무부장(장관)은 지난 8일 오후 마로스 셰프코비치 유럽연합(EU) 집행위원회 통상담당위원과 화상회담을 갖고 중·EU 경제·무역 협력 강화와 미국의 상호관세 부과에 대해 의견을 교환했다.

왕 부장은 리창 국무원 총리가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 EU 집행위원장과 같은 날 통화한 점 등을 들어 양측 지도자들이 협력과 소통을 강화하고 무역·투자 협력을 심화할 것을 희망했다. 리 총리와 폰데어라이엔 집행위원장은 이번 통화에서 오는 7월 중·EU 정상회담 개최를 약속한 바 있다.

왕 부장은 통화에서 미국의 ‘상호관세’가 각국의 이익과 세계무역기구(WTO) 규칙, 다자무역 체제 등을 심각하게 침해한다는 점을 지적하면서 “전형적인 일방주의·보호주의이자 경제적 괴롭힘 행위”라고 비난했다.

이어 “미국이 중국에 대해 50%의 추가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위협한 것은 잘못된 일”이라며 “중국은 협상과 담판을 통해 분쟁을 해결하기를 원하지만 만약 미국이 고집한다면 중국은 반드시 끝까지 상대할 것”이라고 언급했다.

그러면서 중국과 EU가 다자무역 체제를 함께 유지하고 무역 자유화를 통해 세계 경제와 무역에 안정성과 확실성을 가져다줄 수 있다는 점을 강조했다.

이에 셰프코비치 위원은 미국의 관세 인상이 국제 무역과 EU, 중국 등에 심각한 영향을 미쳤다면서 “미국은 전 세계 상품 무역의 13%에 불과하고 EU는 중국을 포함한 다른 WTO 회원국들과 함께 글로벌 무역의 정상적인 운영을 보장하기를 원한다”고 말했다고 중국 상무부는 전했다.

중국 상무부는 양측이 전기차 가격 약정 협상을 즉시 시작하고 중·EU 자동차산업 투자·협력 문제를 논의하기로 합의했다고 밝혔다. 또 중·EU 무역 구제 대화 메커니즘 재개를 지지하고 무역 마찰을 적절히 처리하는 것을 지지하기로 했다고 덧붙였다.

미국이 각국을 상대로 관세 압박에 나선 이후 중국과 EU는 협력을 서두르면서 공동 대응을 모색하는 분위기다.

왕 부장은 지난달 28일에도 중국을 방문한 셰프코비치 위원과 회담을 갖고 전기차 반(反)보조금 안건과 관련한 가격 약정 협상을 조속히 재개하는 데 동의하는 한편 중국은 EU산 브랜디 반덤핑 조사 시한을 연장하는 등 그간 이어져온 무역 갈등을 봉합하려는 모습을 보였다.

중국 정부는 EU 외에도 아세안(ASEAN·동남아시아국가연합) 국가들과도 관세 문제에 대한 공동 대응을 추진하는 모습이다.

왕 부장은 지난 9일에는 아세안 순회의장국인 말레이시아의 틍쿠 자프룰 아지즈 투자통상산업부 장관과 화상통화를 갖고 중·아세안 간 경제·무역 협력 강화와 미국 상호관세에 대한 공동 대응 등에 대해 의견을 나눴다.

왕 부장은 통화에서 미국의 관세조치를 비난하고 중국이 끝까지 대응해나갈 것임을 밝히면서 아세안과 다자무역 체제 유지에 대한 희망을 내비쳤다.

이에 자프룰 장관은 미국의 정책이 WTO 원칙에 부합하지 않는다면서 미국의 상호관세 조치에 대해 아세안 각국과 협의해 공동 대응할 것이라고 밝혔다고 중국 상무부는 전했다.

[베이징=뉴시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오늘의 추천영상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