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러, 트럼프 2기 첫 정상회담
시진핑 “中-러, 패권에 단호히 반대”… 푸틴 “양국 관계 역사상 최고 수준”
“양국 통화 결제 확대” 反트럼프 밀착… 공동성명서 “대북 제재 중단해야”
시진핑, 러 전승절 80주년 맞아 방러
밀착하는 중-러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오른쪽)이 8일(현지 시간) 러시아 모스크바 크렘린궁에서 자국을 국빈 방문 중인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을 안내하고 있다. 7∼10일 러시아를 국빈 방문하고 있는 시 주석은 이날 푸틴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갖고 “중국과 러시아는 일방주의와 패권주의적 괴롭힘에 맞서 강대국으로서 책임을 다할 것”이라며 최근 관세를 앞세워 글로벌 통상 전쟁을 벌이고 있는 미국의 대외정책을 비판했다. 두 정상은 회담을 마친 뒤 포괄적 파트너십과 전략적 상호작용을 더욱 강화하는 내용의 공동성명에 서명했다. 모스크바=AP 뉴시스
“중국과 러시아는 패권주의와 강권 정치에 단호히 반대한다.”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은 7일(현지 시간) 러시아 수도 모스크바의 브누코보-2 공항에 도착한 직후 성명에서 이같이 밝혔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추진 중인 통상 전쟁 등에 맞서기 위해 러시아와의 반미(反美) 연대를 공고히 하겠다는 취지로 풀이된다.
시 주석을 초청한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도 8일 크렘린궁에서 시 주석과 정상회담을 갖고 “러-중 관계는 역사상 최고 수준에 도달했다”고 화답했다. “양국 관계의 원동력은 에너지”라며 미국의 경제 제재를 피해 석유 및 가스 교역 등 양국의 경제 협력을 강화할 뜻도 드러냈다. 시 주석은 푸틴 대통령의 초청을 받아 7∼10일 나흘 일정으로 러시아를 국빈 방문했다. 8일엔 올해 1월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 이후 처음으로 중-러 정상회담을 열었다. 미 CNN방송은 “시 주석의 러시아 방문은 두 권위주의 지도자 간 강력한 결속을 보여주는 상징적 행보”라고 평했다.
● 중-러 “양국 통화 결제 확대”
러시아 관영 리아노보스티 통신에 따르면 양국 정상은 회담 뒤 포괄적 파트너십과 전략적 상호작용을 강화하는 내용의 공동성명에 서명했다. 양국은 성명서에서 “미국의 러시아와 중국에 대한 ‘이중 봉쇄’ 정책에 단호히 대응하기 위해 협력을 확대하고 공조를 강화할 의향이 있다”고 밝혔다.
특히 양국은 미국의 경제, 외교적 공세를 받고 있는 만큼 경제 협력 강화에 주력했다. 중국은 미국으로부터 고율 관세를 부과받고 있고, 러시아는 우크라이나 침공 뒤 미국을 포함한 서방으로부터 원유 판매 등 각종 경제 거래에서 제재를 받고 있다. 양국은 이를 의식한 듯 러시아산 천연가스를 중국으로 수송하는 ‘시베리아의 힘 2’ 가스관 사업을 논의했다. 또 양국은 성명을 통해 “러시아와 중국이 은행 간 관계를 강화하고 국가 통화 결제를 확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미국의 대러 제재로 막힌 금융 거래의 물꼬를 트겠다는 뜻이다.
중-러는 북한에 대한 지지 의사도 나타냈다. 두 나라는 “각국에 대북 제재 및 (북한에 대한) 압박 강화 중단을 촉구한다”고 밝혔다. 또 “중-러 관계와 내정에 대한 외부 간섭을 허용하지 않을 것이며, 주권과 영토 보전을 지지한다”고 했다. 러시아가 자국 영토임을 주장하는 크림반도 및 우크라이나 동부 지역 영유권에 대한 중국의 지지가 강화될지 주목된다.
시 주석의 이번 방문은 러시아의 제2차 세계대전 승리 80주년 기념일(전승절)을 계기로 이뤄져 주목받았다. 승전 70주년인 2015년에 이어 10년 만이다. 시 주석은 9일 전승절 열병식에도 참석한다. 푸틴 대통령도 중국의 항일 전쟁 승전 80주년(9월 3일) 기념행사에 참석할 계획이다.
● 중-러 밀착, EU 심기 건드나
중-러 관계는 지난해 10월 북한군의 러시아 파병이 공식 확인되고, 트럼프 행정부가 러시아에 유화적인 제스처를 취하면서 불편한 기류가 감지되기도 했다. 하지만 트럼프 대통령 재집권 뒤 관계를 공고히 하고 있다. 중국은 트럼프 행정부 관세 폭탄의 집중 타깃이 됐고, 러시아는 우크라이나 전쟁 휴전 압박을 받고 있다.
시 주석이 러시아와의 유대를 과시하고 있지만 속내는 복잡하다는 분석도 있다. 우크라이나 종전 협상과 관세 문제로 미국과 유럽이 갈등을 벌인 틈을 타 중국이 유럽과의 관계 개선을 추진하고 있는 데 따른 것. 중국의 러시아 밀착은 유럽의 심기를 거스를 수 있기 때문이다. 중국은 미국과의 교역이 어려워지자 유럽과의 경제 협력을 추진하고 있다. 뉴욕타임스(NYT)는 7일 “(시 주석의) 이번 방문은 미국과의 치열한 무역 전쟁의 고통을 상쇄하기 위해 유럽과 관계를 회복하려던 중국의 노력을 약화시킬 수 있다”고 내다봤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