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자전쟁 600일…구호품 배급속 팔레스타인 사망자 5만4000명 넘어

  • 동아일보
  • 입력 2025년 5월 28일 14시 13분


코멘트
0

“이스라엘, 서안 정착촌 22곳 건설 비밀리에 승인”

27일(현지 시간) 가자지구 남부 라파에서 팔레스타인 주민들이 식량과 인도적 지원 물품을 받으려 미국과 이스라엘이 주도하는 지원 단체 ‘가자 인도주의 재단’(GHF)으로 이동하고 있다. 이날 배급소에 팔레스타인 주민 수십만 명이 몰려들면서 현장은 아수라장이 되기도 했다. 2025.05.28. 라파=AP/뉴시스
2023년 10월 7일 발발한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무장단체 하마스의 전쟁이 28일로 꼭 600일을 맞았다. 이 기간 동안 하마스가 통치하는 가자지구에서만 최소 5만4056명이 숨진 가운데 식량 부족 등 가자지구의 인도주의 위기도 고조되고 있다.

미국과 이스라엘이 설립한 구호단체 ‘가자인도주의재단(GHF)’은 27일 가자지구 남부 라파 일대에 만든 두 곳의 구호품 배급소를 통해 물품을 나눠 주려 했다. 오랜 굶주림에 지친 가자지구 주민 수천 명이 몰려들어 아수라장이 됐고 물품 배급 또한 제대로 이뤄지지 못했다. CNN에 따르면 가자 당국은 이스라엘군이 군중 해산을 위해 가한 총격으로 최소 1명이 숨지고 9명이 부상을 입었다고 밝혔다.

양측은 앞으로도 극한 대립을 이어갈 가능성이 높다. 전쟁 발발 뒤 이스라엘에서는 베냐민 네타냐후 총리를 포함한 극우 강경파가 정국을 주도하고 있다. ‘중재자’를 자처했던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도 최근에는 관세 전쟁, 중국과의 패권 갈등, 반(反)이민 등을 우선하는 모양새다.

● 구호품 배급소 아수라장

27일(현지 시간) 가자지구 남부 라파에서 팔레스타인 주민들이 미국과 이스라엘이 주도하는 지원 단체 ‘가자 인도주의 재단’(GHF)으로부터 식량과 인도적 지원 물품을 받으려 몰려들고 있다. 이날 배급소에 팔레스타인 주민 수십만 명이 몰려들면서 현장은 아수라장이 되기도 했다. 2025.05.28. 라파=AP/뉴시스
이번 전쟁은 하마스가 이스라엘을 기습 공격해 민간인 1200여 명을 살해하고 251명을 납치하면서 발발했다. 인질 중 57명은 아직 하마스의 통제하에 있다. 이 중 생존자는 21명으로 추정된다.

팔레스타인 측 피해는 훨씬 크다. 가자지구 보건부는 전쟁 발발 후 27일까지 팔레스타인 주민 5만4056명이 숨졌다고 밝혔다. 부상자는 12만3129명. 하마스 군사시설 중 상당수가 가자지구의 학교와 병원 지하에 있다. 이스라엘이 하마스 전투원을 공격하는 과정에서 민간인 또한 대거 희생될 수밖에 없는 구조다.

이스라엘은 올 1월 체결된 양측의 1단계 휴전이 종료된 다음 날인 올 3월 2일부터 이달 18일까지 11주간 구호물품 트럭의 가자지구 내 진입을 차단했다. 하마스가 이 물품을 빼돌리거나, 암시장에서 판매한 뒤 조직 운영 자금으로 쓴다는 이유에서다. 이로 인해 약 230만 명인 가자 주민 대부분이 기아 위기에 처해 있다.

이스라엘은 최근 구호품의 반입을 허용했지만 기존에 구호를 담당했던 유엔 산하 ‘팔레스타인난민구호기구(UNRWA)’가 아닌 GHF를 통하라고 했다. 이스라엘은 하마스 조직원들이 UNRWA에도 침투해 있다고 보고 있다.

영국 BBC방송 등에 따르면 GHF는 27일 오전 9시 30분부터 배급소 2곳에서 주민들을 받기 시작했다. 하마스 측은 “이스라엘의 통제 수단이니 구호품을 받지 말라”는 명령을 내렸지만 굶주림에 지친 주민들이 대거 몰려와 총격 사태까지 빚어졌다.

● 네타냐후, 요르단강 서안도 장악 추진

27일(현지 시간) 가자지구 남부 라파에서 팔레스타인 주민들이 미국과 이스라엘이 주도하는 지원 단체 ‘가자 인도주의 재단’(GHF)으로부터 받은 식량과 인도적 지원 물품을 들고 돌아가고 있다. 이날 배급소에 팔레스타인 주민 수십만 명이 몰려들어 현장은 아수라장이 되기도 했다. 2025.05.28. 라파=AP/뉴시스
1948년 이스라엘 건국 후 내내 대립했던 양측의 분쟁 해결은 이번 전쟁으로 더 어려워졌다는 평가가 지배적이다.

이스라엘은 전쟁 과정에서 하마스 지도자 이스마일 하니야와 야흐야 신와르, 하마스를 돕는 레바논의 친(親)이란 무장단체 헤즈볼라의 지도자 하산 나스랄라 등을 속속 제거했다. 사실상 하마스와 헤즈볼라 지도부가 궤멸된 상태다. 전쟁 발발 초기만 해도 ‘하마스의 기습 공격을 막지 못했다’는 비판을 받았던 네타냐후 총리는 이를 통해 핵심 지지층인 보수 유권자의 강한 지지도 확보했다.

특히 네타냐후 정권은 상대적으로 온건 성향인 팔레스타인 자치정부가 관할하는 요르단강 서안에도 정착촌 건설을 확대할 뜻을 분명히 했다. 네타냐후 내각은 최근 비밀 회의를 통해 요르단강 서안에 국제사회가 불법으로 규정한 정착촌을 22곳 건설하기로 했다. 일각에선 사실상 서안 병합 작업이란 평가가 나온다. 또 가자지구에 대해서도 완전 점령 방침을 강조하고 있다. 팔레스타인 주민이 요르단강 서안과 가자지구에서 이스라엘과 공존하는 이른바 ‘두 국가 해법’을 완전히 부인하는 수순으로 풀이된다.

국제사회는 이런 이스라엘을 비판하고 있다. 27일 아일랜드는 이스라엘 정착촌에서 생산된 물품 수입을 금하는 법안 초안을 승인했다. 유럽 국가가 정착촌 물품을 제재한 것은 처음이다.

#가자 전쟁#팔레스타인#하마스#이스라엘#인도주의 위기#군사 작전#구호 물품#국제사회#정착촌
©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