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9월 전승절에 이재명 대통령 초청 타진…정부, ‘신중’ 기류

  • 뉴스1
  • 입력 2025년 7월 2일 10시 21분


코멘트

中, 2015년 朴대통령 이어 10년 만에 ‘천안문 외교’ 요청

이재명 대통령,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News1
이재명 대통령,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News1
중국이 오는 9월 베이징 천안문 광장에서 열리는 ‘항일전쟁 및 반파시스트 전쟁 승리 80주년’(전승절)에 이재명 대통령을 초청하는 방안을 타진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2일 복수의 외교 소식통에 따르면 중국 정부는 최근 한중 외교채널을 비롯해 학자들을 초청한 회의 등에서 이 대통령의 열병식 참석 가능성을 타진하고 있다.

현재 중국 정부의 공식 초청장이 우리 정부에 전달된 건 아니다. 그러나 대사관 등 외교채널을 통해 참석 의향을 묻고 있다는 건 자체가 사실상 공식적으로 초청 의사를 전달한 것이라는 분석도 제기된다.

중국은 중일전쟁(1937~1945년)과 일본의 항복 문서 서명으로 제2차 세계대전이 끝난 1945년 9월 2일의 다음 날인 9월 3일을 항일전쟁 승리를 기념하는 전승절로 기념하고 있다.

특히 사회주의 국가들은 정주년(5년·10년 단위로 꺾이는 해)에 행사를 성대히 개최하는데 올해 중국의 전승절은 80주년을 맞았다.

중국은 이번에 사회주의권 외에 서방 국가 정상들도 초청할 조짐도 감지되고 있다. 최근 일본 교도통신은 중국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초청 계획도 갖고 있다고 보도한 바 있다.

이런 가운데 우리 정부는 중국 측의 이번 초청과 관련해 여러 상황을 봐가면서 신중히 접근·판단하겠다는 입장이다.

이재명 정부는 국익 중심의 ‘실용외교’를 기치로 내걸고 한미동맹을 기반으로 일본, 중국 등 주변국과의 관계 강화를 모색하고 있다.

하지만 미중패권 경쟁이 심화하고 있는 상황에서 이 대통령의 전승절 참석은 동맹국 미국을 비롯해 국제사회에 잘못된 메시지를 발신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

이 대통령의 대선 유세 기간 나온, 이른바 ‘쎼쎼(谢谢·고맙습니다)’ 발언으로 불거진 ‘친중’ 논란이 다시금 불거질 수도 있다.

지난 2015년 중국의 전승절 70주년 행사 당시 박근혜 전 대통령이 자유주의 진영 정상 중엔 유일하게 참석해 천안문 망루에 오른 뒤, 미국은 사실상 불편한 기색을 내비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일각에선 트럼프 대통령이 전승절에 참석할 경우, 우리의 ‘부담’이 줄어드는 게 아니냐는 분석도 내놓기도 한다. 하지만 미중 간 신경전이 이어지는 상황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전격적으로 전승절에 참석할 가능성은 그리 크지 않다는 게 외교가의 ‘중론’이다.

아울러 중국이 한중 외교당국 간 소통·협의 중인 10월 말 경주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를 계기 시 주석의 방한 사안과 이번 전승절 사안을 연계시키는 게 아니냐는 우려의 목소리도 제기되는 모습이다.

다만 이에 대해선 내년 APEC 정상회의 의장국이 중국이라는 점과 그리고 한중 양국은 이미 “APEC 성공적 개최를 위해 협력”하기로 뜻을 모은 만큼, 우리가 먼저 지나치게 ‘저자세’로 사안을 볼 필요는 없다는 반론도 있다.

(서울=뉴스1)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오늘의 추천영상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