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동아일보
오피니언
정치
경제
국제
사회
문화
연예
스포츠
헬스동아
트렌드뉴스
통합검색
언어선택
방문하고자 하는 언어의 홈페이지를 선택하세요.
한국어
English
中文(簡体)
日本語
마이페이지
전체메뉴 펼치기
국제
연준 대부분 “7월 금리인하는 빠르고 연말 적절”…FOMC 회의록
뉴스1
업데이트
2025-07-10 06:59
2025년 7월 10일 06시 59분
입력
2025-07-10 06:58
2025년 7월 10일 06시 58분
좋아요
개
공유하기
공유하기
SNS
퍼가기
카카오톡으로 공유하기
페이스북으로 공유하기
트위터로 공유하기
URL 복사
창 닫기
즐겨찾기
읽기모드
뉴스듣기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가
가
가
가
가
창 닫기
프린트
지난달 금리 동결시 의견…관세 영향력 불확실성 지적
트럼프 “금리 당장 최소 3% 낮춰야” 거듭 주장
미국 중앙은행 연방준비제도(연준)가 올해 말 금리인하를 지지했지만 이달 말 인하는 소수 의견에 그쳤다.
관세가 인플레이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불확실성이 지속되면서 금리인하 속도에 이견이 재확인됐다.
9일(현지시간) 공개된 연준의 6월 통화정책 회의록에 따르면 19명 정책위원 중에서 “대부분”은 올해 말 금리인하가 적절할 것으로 예상했다.
7월 금리인하와 같은 즉각적 대응을 지지하는 경우는 “몇 명”에 불과했다. “일부” 정책위원은 금리인하가 전혀 필요하지 않다는 의견을 개진했다.
6월 17~18일 회의를 마치고 연준은 기준금리를 4.25~4.5%로 유지해 지난해 12월 인하 이후 계속해서 동결하는 결정을 내렸다.
연준의 금리인하 지연에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도 금리가 최소 3%P 내려야 한다고 노골적인 인하를 요구했다.
연준 위원들은 트럼프의 관세로 물가가 더 오를 수 있지만 관세 효과의 시기, 규모, 기간에 대해서는 “상당한 불확실성”이 남아 있다고 밝혔다.
기업들은 제품 비축량을 소진할 때까지 소비자 가격을 인상하지 않을 수도 있지만, 관세 부과로 인한 공급망 차질은 더 큰 가격 인상을 유발할 수 있다.
회의록은 “일부 참가자들은 관세가 일회성 가격 상승으로 이어져 장기적인 인플레이션 기대치에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이라고 언급했지만, 대부분의 참가자들은 관세가 인플레이션에 더 지속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위험성을 지적했다”고 전했다.
관세의 정확한 인플레이션 효과에 대한 “상당한 불확실성”이라는 특징에도 불구하고 회의록은 “조만간 금리인하가 시급하지 않다는 점을 강조했다”고 BMO캐피털마켓의 프리실라 티아가모르디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말했다.
회의록이 발표된 후 트레이더들은 7월 29~30일 연준 회의에서 금리인하에 대한 베팅을 축소했고, 금리 선물은 올해 말까지 50bp(1bp=0.01%p) 인하를 예상하며 연준의 금리전망과 일치했다.
(서울=뉴스1)
좋아요
0
개
슬퍼요
0
개
화나요
0
개
오늘의 추천영상
지금 뜨는 뉴스
‘술 취해 경찰 폭행’ 빙그레 3세, 2심서도 벌금형
APEC 정상회의장 리모델링 30% 진행… “잼버리 악몽 재연 안돼”
폭염發 의료대란 온다? “기온 4도 오르면 中서 年510만 명 입원”
창 닫기
닫기